미국 최대 수입국 중국 → 멕시코제조업 몰린 동부해안 투자 각광신흥 아시아 → 한국 항만 '환적' 토록美 제조업 기지화 → 亞 역수출 대비도
-
"항만이 4-5개 밖에 없는 서부보다 세금이 낮고 물류인력이 집중되어 있는 동남부와 캐나다·멕시코 국경지역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대한상공회의소(상의)는 11일 '트럼프 집권 2기 물류공급망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집권 2기 이후 물류공급망의 탈중국화가 가속화될 것"이라며 "새로운 글로벌 공급망 거점으로 떠오르는 미국 동남부지역, 캐나다·멕시코 국경지역 등을 중심으로 항만·터미널 등 물류인프라를 선제적으로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대중 수입액은 2021년 5040억달러에서 지난해 4270억달러로 연평균 5.4% 감소했다. 반면 멕시코는 같은기간 3830억달러에서 4750억달러로 매년 7.5% 증가했다. 미국 최대수입국이 중국에서 멕시코로 바뀐 것이다.트럼프 당선인은 중국의 관세 회피를 위한 우회 수출 차단을 위해 멕시코에 25% 관세를 공약했지만, 탈중국 기조가 주류인 만큼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을 중심으로 물류공급망이 재편될 것으로 상의는 전망했다.현재 롱비치 등 미주 서안을 통해 유입되는 경로에서 벗어나 파나마 운하를 지나 서배너항이나 뉴욕항으로 직행하는 동안으로 접근하는 항로가 각광받을 것이란 분석이다.특히 한국은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북미 공급망에 새롭게 진입하는 아시아의 전략적 동맹국에게 안정적인 물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거점으로 꼽힌다. 통관, 항망인프라 등 선진물류시템을 구축하고 있고 미국의 핵심 경제동맹국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보고서는 "과거 한국의 중간재가 중국을 거쳐 미국으로 이동했던 것에서 곧바로 북미로 건나가 역내에서 최종재가 될 것"이라며 "정부가 나서 공급망 인프라를 지원하고 통합물류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성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미물류공급망센터 센터장은 "미국은 반도체, 2차전지, 전기자동차, AI, 양자 컴퓨팅 등 주요 핵심 기술제품에 대해 자국 내 생산을 확대하고 있는데, 향후 5년 내 생산시설이 완비되면 미국 내수 시장에서 소비되고 나아가 해외, 특히 아시아 지역으로 수출하는 흐름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장근무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공급망 변화 선상에서 3PL·풀필먼트 서비스, 터미널 인프라 운영 등의 물류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