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익추정치 상향 종목군 중심, 모멘텀 투자에 집중"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최근 시장 국면에서는 가치투자보다 모멘텀 투자가 유망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10일 증권업계는 이익추정치 상향 종목군을 중심으로, 모멘텀 투자에 집중하는 전략이 유효하다고 조언했다.

    동부증권은 "단기적인 이익 전망 변화로만 전체적인 기업 가치(valuation)를 정의할 수 없다"면서도 "최근 상황에서는 모멘텀 투자방식이 가치에 기반한 투자보다 유리하다"고 해석했다.

    △삼성생명 △현대글로비스 △우리금융 △현대제철 △현대건설 △대우증권 △키움증권 등이 이에 해당한다.

    ◇ "투심 몰리는 곳으로 찾아갈 것"

    최근 시장은 긍정요인과 부정요인이 강하게 대립하는 형세를 나타내고 있다. 내수주 실적 개선은 긍정적이지만 엔저 지속, 수출주 실적 부진 등 부정요인이 지수를 발목 잡는다.

    수급 측면에서는 외인과 기관의 매매 공방이 치열하다. 지난 한 달 간 외인은 1조9692억원어치를 순매수한 반면 기관은 1조6522억원 매도 우위를 보였다.

    지난 8월 한 달 새 코스피 지수는 2030선과 2075선 사이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연휴 전 마지막 거래일이었던 지난 5일에는 2049선으로 마감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모멘텀 투자는 지난 7월, 실적 발표로 인해 당시 부진했지만 지난달 들어 확연한 개선세를 나타냈다.

    모멘텀 투자와 관련이 높은 이익추정치 상향 종목군도 지난달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일례로 삼성생명[032830]의 경우 7월 평균 99만원을 사이에 두고 등락을 거듭했지만 8월 이후 110만원선까지 뛰어올랐다.

    계열사 매각이익에 힘입어 올해 2분기 당기순이익이 시장 예상치를 약 80% 상회한 데 기인했다.

    수급도 양호하다. 연휴 전 마지막 거래일이었던 5일, 외인과 기관은 2거래일째 삼성생명을 동반 매수했다.

    남기윤 동부증권 연구원은 "투자자들은 미래실적 호조보다 현재실적이 좋은 기업에 투자하는 경향이 강하다"며 "투자자심리가 몰리는 곳으로 찾아갈 것"을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