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유재고가 1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업계에서는 유업체들이 조만간 수백억원의 적자를 감수하고 남은 유제품을 헐값에 처분하거나 그대로 버려야할 상황에 직면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21일 낙농진흥회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분유재고는 1만4896t에 달한다. 분유재고란 제품으로 만들고 남은 원유를 말려 보관한 것을 뜻하며, 이는 지난 2002년 이후 12년 만에 가장 많은 규모다.
분유재고는 지난 6월 1만5554t까지 치솟았으나, 7월 들어 무더위에 생산량이 일시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8월 들어 다시 생산량이 늘며 재고는 지속적으로 상승추세를 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유업체들은 재고를 처리하기 위해 소비촉진에 나서거나 우유, 발효유 등의 신제품 등을 출시해왔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우유 및 유제품 소비는 오히려 지난해보다 줄어든 상태다.
이마트가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집계한 매출을 살펴보면 전체 유제품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3% 감소했다. 우유, 요구르트, 우유가 들어간 냉장음료의 경우 각각 1.8%, 2.8%, 4.9%씩 감소했다.
일부 업체들은 한계상황에 직면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체 분유 저장시설은 물론 외부서 임대한 창고까지 재고물량으로 넘치며 조만간 재고를 폐기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 것이다. -
이들은 유통기한을 늘리고자 원유를 탈지분유로 변형해 보관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유통기한이 다가오는데다 추가로 창고를 확보할 여력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업체는 현재 하루 200t 이상의 잉여 원유가 발생해, 탈지분유 형태로 저장중인 우유만 전체 분유재고의 35%에 해당하는 6000t에 달한다.
이 업체는 약 1000t 규모의 저장시설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같은 상황으로 외부 창고를 임대해 5000t 가량의 탈지분유를 추가 저장하는 형편이다. 창고 유지 및 보관 비용만 연간 10억원 수준인데, 더는 추가로 저장시설을 확보할 수 없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유업체들이 한계상황에까지 몰린 것을 놓고 '원유가격 연동제'가 문제라고 입을 모은다.
업계 한 관계자는 "우유가 남아돌며 소비가 되지 않는 상황에서 원유가격 연동제 때문에 가격을 내리지도 못하고, 재고만 쌓여가고 있다"이라며 "정부와 낙농가, 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돌파구를 마련하지 않으면 남는 우유를 내다버리는 상황이 불가피하다"고 우려를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