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연내 발효도 가능…日 제치고 수입시장 점유율 7위 도약 기대"
  •  

     

    우리나라와 콜롬비아간 FTA(자유무역협정)가 발효되면 자동차와 합성수지, 타어어가 수혜를 입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김극수)은 15일 '한·콜롬비아 FTA 체결에 따른 기대효과' 보고서를 통해 "콜롬비아 정부의 한·콜롬비아 FTA 비준 국내 절차가 마무리 단계에 이르러 조만간 FTA가 발효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2013년 2월 한·콜롬비아 FTA 정식 서명 이후 비준에 필요한 국회 절차를 모두 마친 상태다. 콜롬비아 측은 현재 마지막 절차인 헌법재판소 승인만 남겨둔 상태로, 보고서는 양국 간 합의를 통해 이르면 연내 발효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FTA가 발효되면 우리의 대(對)콜롬비아 수출 중 약 28.2%를 차지하는 승용차와 화물자동차의 수출 확대 효과를 기대했다. 현재 승용차와 화물자동차에 부과되고 있는 35%의 고관세가 단계적으로 철폐된다는 이유에서다. 

     

    보고서는 또 합성수지, 타이어 등 주요 수출품에 대해서도 5~10%의 관세가 점진적으로 인하돼 경쟁국 대비 가격 경쟁력이 향상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우리나라와 콜롬비아의 무역 규모는 지난해 기준 20억달러를 수준으로, 우리나라는 콜롬비아 수입시장에서 점유율 2.3%로 8위를 차지하고 있다.

     

    콜롬비아는 상위 수입국 1~7위 가운데 중국과 일본을 제외한 모든 국가와 FTA를 발효했기 때문에 한-콜롬비아 FTA 발효 시 중국과 일본에 비해 수출 환경이 유리하게 조성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본과의 시장 점유율 격차는 0.1%p 불과해 FTA를 적극 활용하면 일본을 추월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서는 예상했다.

     

    한-콜 FTA는 콜-미 FTA, 콜-EU(유럽연합) FTA 발효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국산 승용차의 콜롬비아 시장점유율 회복에도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콜롬비아 수입 승용차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2011년 17.8%에서 지난해 13.0%로 크게 하락했다. 반면, 2012년 5월 FTA를 발효한 미국과 2013년 8월 발효한 독일은 점유율이 크게 상승했다.

     

    무역협회 통상연구실의 이혜연 연구원은 "현재 일본은 콜롬비아와 FTA 협상을 활발히 진행 중이고, 중국도 콜롬비아 측에 FTA 협상 개시를 촉구하고 있다"며 "우리가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선 한·콜 FTA를 조속히 발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