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선진화포럼 10주년 기념 세미나, 경제사적 시각에서 본 한국 경제발전 주제발표
  •  

          
  • ▲ 안병직 서울대 명예교수가 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선진화포럼 10주년 기념 세미나에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 뉴데일리DB
    ▲ 안병직 서울대 명예교수가 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선진화포럼 10주년 기념 세미나에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 뉴데일리DB


"한국은 반세기 조금 넘는 시간에 저개발국에서 선진국으로 도약했다. 일제 36년을 포함한다해도 1세기 내 저개발국이 선진국이 됐다는 것은 세계사에서 이례적인 일이다"

안병직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는 1일 한국선진화포럼 창립 10주년 기념세미나에서 '경제사적 시각에서 본 한국의 경제발전'에 대한 주제발표를 진행했다.

안병직 교수는 한국 경제가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로 '후발성'과 '고도성장' 두가지를 꼽았다. 
세계 자본주의 발전 과정은 △제 1파동(16세기 중엽 영국 중심) △제 2파동(19세기 중엽 독일·이탈리아·일본·러시아 중심) △제 3파동(20세기 중엽 중국·인도 등 아시아 중심)으로 나눌 수 있는데 한국의 경제 발전은 제 3파동기에 이뤄졌다.

안병직 교수는 "한국이 경제 발전을 하기 전 선진국이 400년 전부터 경제발전을 해오던 역사적 경험이 있고, 그를 토대로 한국은 경제 발전을 해왔다는 것이 중요한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한국은 자생적 발전이 약하고 근대적 발전을 중심으로 해서 수입항구나 도시에서 시작해서 농촌으로 역류하는 경제발전을 해왔다"며 "한국은 재래산업 발전이 약해 근대산업, 특히 재벌 중심으로 발전해왔다"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고도성장이 가능했던 이유에 대해서도 선진 자본주의에서 400년간 축적한 노하우와 기술을 흡수했기 때문으로 설명했다. 계량경제학으로 따져보면 자본주의 제 1파동기의 경제성장률은 1세기 동안 0.9%에 불과했지만, 20세기 후반에는 연평균 8~10%까지도 발전한다는 것.

안 교수는 "선진국에서의 기술이나 자본이 저개발국을 향해 외부에서 폭발적으로 들어오는 만큼 빠른 속도로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고 언급했다.

        
  • ▲ 유장희 이화여대 명예교수가 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선진화포럼 10주년 기념 세미나에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 뉴데일리DB
    ▲ 유장희 이화여대 명예교수가 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선진화포럼 10주년 기념 세미나에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 뉴데일리DB


    이어 유장희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도 한국 경제발전의 세계사적 의의에 대해 논의했다. 그는 △인적자본과 높은 교육열 △제도적 유연성과 응세능력 △지도층의 추진력 등 3가지를  통해 한국 경제가 발전할 수 있는 특징으로 꼽았다.

  • 유장희 교수는 "한국은 개발 초기 경제 기획원을 출범시키고 필요할 때는 동력자원부를 출범하고, 최근에는 미래창조과학부라는 부처를 탄생시켰다"며 "세계 흐름에 따라 필요할 경우 제도를 민첩하게 적응시켜가는 능력이 있고 이는 세계 개도국 중에서 찾아보기 힘든 능력"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박정희 대통령을 비롯해 여러 대통령의 공통 관심사가 '경제 성장'이었다"며 "우수한 경제전문가를 등용해 경제 성장을 위해 노력할 수 있도록 폭넓은 리더십을 보여왔다"고 덧붙였다.

          
  • ▲ 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선진화포럼 10주년 기념 세미나에서 주제발표가 이어지고 있다. ⓒ 뉴데일리DB
    ▲ 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선진화포럼 10주년 기념 세미나에서 주제발표가 이어지고 있다. ⓒ 뉴데일리DB


    이어 좌승희 영남대 박정희새마을대학원 석좌교수의 '새마을운동의 의미와 평가'에 대한 주제 발표가 이어졌다.

    좌승희 교수는 박정희 시대의 성공 원리로 정치의 경제화와 신상필벌로 차별화했음을 꼽았다. 박정희 대통령이 취약할 수 없는 시장의 차별적 보상기능 보완하고 경쟁을 촉진해 시장의 영역을 넓혀나갔다는 것.

    그는 "박정희 대통령의 경제정책 패러다임은 '정치의 경제화를 통한 경제적 차별화 정책 패러다'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정치적 고려를 배제하고 경제적 차별화 원리를 실천한 것을 뜻한다"고 언급했다.
     
    좌 교수는 △수출입우수기업에 지원을 집중한 수출 육성정책 △수출우수기업들에게 참여를 허용한 중화학육성정책 △성과있는 마을에만 집중 지원한 새마을 운동 등을 통해 차별화 원리를 실천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에 의한 소위 관치 차별화 정책이 한국경제의 도약을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3번째 주제발표에서는 한승희 KDI국제정책대학원 초빙교수가 '한국의 경제개발5개년 계획'의미와 평가를 논했다.

    한승희 교수는 한국 경제가 그동안 세계에서 유례가 없을 정도로 높은 성장을 이룩한 요인으로 정부가 경제개발 계획을 세워 일관성있게 추진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한 교수는 "박정희 정부가 지난 1962년부터 1966년간 시행했던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통해 한국 정부는 경제 개발에 높은 우선순위를 두고 계획을 본격적으로 추진했다"며 "계획 자체의 미흡함과 경제상황의 예기치 않은 이유로 시행착오도 겪었지만 이후 경제개발계획은 대체로 양호한 실적을 거뒀다"고 언급했다.

    이로 인한 긍정적 측면으로는 계획으로 경제정책에 대한 민간 예측 가능성을 향상시켜 기업과 일반 국민에게 겨제개발에 대한 신념과 용기를 가져다줬다고 설명했다.

    또한 경제개발계획의 수립과 집행을 거듭하면서 시장기능 화성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와 규칙을 점차 도입해 경제 선진화에 차츰 기여했다. 계발계획의 입안과 추진은 공무원 능력 향상의 기회가 되기도 했다.

    반면 부정적 측면으로는 계획 추진과정에서 경제주체들로 하여금 정부의존적 태도를 갖게 했고 시장경제 활성화를 지연시킨 점도 거론됐다.

    한승희 교수는 "한국의 경제개발계획은 결과 면에서 부정적인 면도 있지만 긍정적 요소도 적지않은 것으로 평가된다"며 "과거 한국이 어떻게 계획을 효과적으로 집행해나갈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다른 개도국에게 유용한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