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 조기사망자 100만 명당 1109명 예상대기오염에 따른 손실 GDP 대비 0.63% 전망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의 미세먼지에 대해 심각성을 경고했다.

    OECD는 한국이 대기오염에 대해 제대로 대처하지 않으면 이로 인해 40여 년 뒤 OECD 회원국 중 조기 사망률이 가장 높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경제 피해도 가장 클 것이라고 관측했다.

    OECD는 9일(현지시간) 미세먼지와 지표면 오존 증가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계산한 '대기 오염의 경제적 결과'(The economic consequences of outdoor air pollution)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기오염으로 발생한 조기사망자 수는 2010년 전세계 300만여명에서 50년 후 2~3배 증가하고 노동생산성, 농작물 수확 등 세계 국내총생산(GDP)는 1%가량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OECD는 2060년까지 대기오염으로 인한 조기 사망자 수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로 한국, 인도, 중국,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국가를 꼽았다.

    특히 한국에 대해 대기오염에 적극적 대응이 없을 경우 2060년에는 조기사망자 수가 359명에서 1109명으로 3.1배로 급증하는 것으로 전망했다.

    2060년 OECD 회원국 가운데 100만 명당 사망자가 1000명이 넘는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

    일본이 779명으로 1.7배 증가하고 미국(307명), EU 주요 4개국(340명), 캐나다(300명) 등은 2010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감소했다.

    호주와 뉴질랜드는 2060년 95명에 그쳐 조기 사망률이 한국의 8.6%에 불과했다.

    OECD는 "미국과 서유럽 국가는 청정에너지와 저공해 교통수단 사용 노력으로 조기 사망률이 낮아지는 대신 인도, 중국, 한국 등은 인구 집중, 도시화 등으로 차량과 공장 가스에 더 많이 노출돼 사망자가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OECD는 한국이 OECD 회원국 가운데 GDP의 O.63% 손실을 전망했다.

    EU 주요 4개국 손실은 평균 0.11%로 낮았으며 미국(0.21%), 일본(0.42%)이 이보다 높았다.

    앞서 지난달 말 OECD가 발표한 '2016년 더 나은 삶 지수'(Better Life Index·BLI)에서도 한국은 대기환경에서 OECD 회원국을 포함해 조사대상 38개국 중 꼴찌를 기록한 바 있다.

    당시 보고서를 보면 한국의 평균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29.1㎍/㎥로 OECD 평균(14.05㎍/㎥)의 배에 달했으며 세계보건기구(WHO) 지침(10㎍/㎥)의 3배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