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산업 887억원·현대건설 860억원 1·2위 다퉈과잉공급→미분양 증가→주택가격 급락 재현 우려
  • ▲ 사진은 경북 포항시의 한 미분양 단지 공사 현장. ⓒ성재용 기자
    ▲ 사진은 경북 포항시의 한 미분양 단지 공사 현장. ⓒ성재용 기자

    올 들어 감소세를 보이던 미분양 물량이 5월 이후 3개월 연속 늘어나고 있다. 특히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이 가장 큰 증가세를 보이면서 건설사들에게 부담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2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들어 4월 말까지 감소세를 보이던 미분양 물량이 5월 상승세로 돌아서더니 7월 말까지 3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7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물량은 모두 6만3127가구로 6월 말 5만9999가구에 비해 5.2% 증가했다.

    조선업 불황 직격탄을 맞은 경남이 75.4% 늘어나며 가장 큰 증가세를 기록한 가운데 △강원 43.9% △인천 17.1% △경북 10.3% △충남 7.8% △서울 4.2% △제주 2.4% 순으로 미분양이 증가했다.

    특히 준공 후 미분양 경우 1만1527가구로, 6월 보다 742가구 증가하면서 올 들어 가장 큰 상승폭(+6.9%)을 기록했다.

    대개 분양에서 입주까지는 3년가량이 소요되는데, 이 기간 동안에도 팔리지 않게 되면 미계약 가구 만큼의 공사비를 회수할 수 없을 뿐더러 관리비나 수선충당금, 대출이자 등 금융비용도 지속적으로 들어가게 돼 건설사(시행사)에게 금전적으로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 동시에 입주민 입장에서는 '미분양 단지'라는 주홍글씨로 인해 상대적으로 시세가 인근 단지에 비해 뒤쳐진다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업계 일각에서는 건설기업들의 유동성에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앞서 부동산 활황기였던 2006~2007년 건설사들이 분양물량을 대거 쏟아냈을 때 부동산 경기침체와 글로벌 금융위기가 겹치면서 미분양 주택이 2008년 16만5000여가구까지 치솟은 바 있다.

    당시 중견 주택기업들 경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이자연체 발생과 금융권 상환연장 거부 등이 이어지면서 유동성이 악화돼 일부 업체 경우 도산을 피할 수 없었다.

    시공능력평가 상위 30개 건설사 중 상반기 보고서에 관련 수치가 공개된 10개사 준공 후 미분양 물량 금액은 총 266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대림산업(887억원)과 현대건설(860억원)은 800억원대의 금액이 잡혀있고, 현대산업개발과 대우건설도 각각 551억원·244억원으로 적지 않은 수치를 나타냈다. GS건설(24억원, +25%)과 대우건설(+18%) 역시 지난해 상반기보다 금액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지난해 수치가 집계되지 않았던 한진중공업의 경우 4억원으로 늘어났으며, 계룡건설산업(4억원)과 금호산업(3억원)은 지난해와 동일한 수치를 2년째 이어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건설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일각에서는 단순 분양물량 증가로 인해 미분양 물량이 증가됐다고 판단하면서 미분양 우려가 시간문제일 뿐이라고 치부하고 있지만, 앞서 2000년대 말 과잉공급→미분양 증가→주택가격 급락의 악순환이 재현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며 "시장이 뒷받침되면 무리가 없겠지만, 금리 조정 등으로 휘청거릴 경우 시장은 물론, 건설업에 심각한 타격을 입힐 수 있는 시한폭탄이 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대형건설 A사 관계자도 "그간 안정적인 수입원으로 여겨졌던 수도권 재건축 분양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입지 좋은 수도권 재건축 단지임에도 입주율이 70~80%에 그치는 곳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최근 발표된 가계부채대책이 조기 시행됨에 따라 업계에서는 분양시장 호황이 지속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비관론이 확산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