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 제약 많아 결론 도출 '요원'
  • ▲ 지난 6일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일부 재벌 총수들이 민주당 안민석 의원의 전경련 해체관련 질문에 손을 들어 반대의사를 표시하고 있다. ⓒ연합뉴스
    ▲ 지난 6일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일부 재벌 총수들이 민주당 안민석 의원의 전경련 해체관련 질문에 손을 들어 반대의사를 표시하고 있다. ⓒ연합뉴스

    삼성 등 주요 그룹 총수들의 공개 탈퇴 선언으로 존폐 기로에 선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소속 회원사들의 의견수렴에 착수했다.

    지난 7일 열린 '최순실 게이트' 청문회에서 삼성, SK, LG 등 주요 그룹 총수들이 줄줄이 전경련 탈퇴 의사를 밝히고 다른 기업들의 추가 탈퇴 가능성까지 거론되면서 서둘러 논의를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 됐기 때문. 전경련은 이날 오전 이승철 상근부회장 주재로 임원 회의를 열고 이 같은 상황을 공유했다.

    전경련은 청문회 의견과 회원사들의 견해를 반영, 조직쇄신안을 준비하고자 내부적으로 실무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에도 거론됐던 미국 헤리지티재단과 같은 싱크탱크로 전환하는 방안 등이 우선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또 전경련 산하의 한국경제연구원을 중심으로 조직을 개편해 연구단체로 거듭나는 방안, 법정단체인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경련을 흡수통합하는 방안 등 그동안 각계에서 나온 의견들도 함께 검토할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전경련의 해체보다는 변신을 통해 새로운 단체로 거듭나도록 하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날 잇단 공개 탈퇴 선언 와중에도 청문회에 출석한 대기업 총수 9명 중 △구본무 LG그룹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등 5명은 "전경련 해체에는 반대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특히 구본무 회장은 "전경련은 헤리티지 단체처럼 운영하고 친목단체로 남아야 한다"는 구체적인 의견을 내기도 했다.

    하지만 회원사들의 의견수렴에서부터 쇄신안 마련까지 매 단계 난관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당장 공식적인 의견수렴을 위한 회장단 회의를 열기조차 쉽지 않은 상황이다.

    실제로 지난달 개최하려다 '최순실 게이트' 검찰 수사와 참석률 저조 탓에 무산돼 버린 정례 회장단 회의는 다시 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기업들은 인사 등 경영이 올스톱된데다 조만간 시작될 특검 수사에 대비하기도 바쁜 상황이다.

    전경련 개혁 방안 논의가 차기 회장 선임 시기와 맞물려 있는 점 역시 또 다른 변수로 거론된다. 허창수 회장이 내년 2월 말 퇴임을 앞둔데다 미르·K스포츠재단 모금 주도에 책임이 있는 허 회장이 쇄신안을 추진하는 게 맞느냐는 시각도 있다. 당장 후임 회장을 찾기도 쉽지 않은 상태다.

    현재 잡혀 있는 공식일정은 내년 1월 정례 회장단 회의와 2월 중순 정기총회가 전부다. 2월 총회에는 전경련 회장 이·취임을 위한 것으로, 그 전까지 쇄신안 논의가 마무리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