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1300조시대...서민경제 부담 불보듯 뻔해

  • ▲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의(FOMC)가 이르면 3월, 늦어도 5월에는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우리나라 역시 금리 인상 압박이 현실화될 전망이다. ⓒ 뉴시스
    ▲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의(FOMC)가 이르면 3월, 늦어도 5월에는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우리나라 역시 금리 인상 압박이 현실화될 전망이다. ⓒ 뉴시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의(FOMC)가 이르면 3월, 늦어도 5월에는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우리나라 역시 금리 인상 압박이 현실화될 전망이다. 당장 한계기업 관리와 가계부채 연착륙 등이 발등의 불로 떨어졌다. 

또 헌법재판소의 탄핵 판결을 앞두고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경제적 리스크까지 뒤엉킨형국이 됐다.

23일 공개된 1월 FOMC 회의록에 따르면 연방공개시장위원들은 '이른 시일 내(fairly soon)'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평가했다. 

FOMC 위원들은 트럼프 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에 따라 당장 금리 인상을 결정하기 보다는 미국의 고용시장과 물가지표 등을 한 두달 정도 살펴본 뒤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는 트럼프의 무역전쟁 등 대내외적인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항에서 기준금리 조정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인식이 깔려있다.

특히 일부 위원들은 "다음 FOMC회의서 기준 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적정하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전해졌다. 다음 회의는 3월 14일로 예정돼 있다.

같은날 한국은행은 이주열 총재 주재로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1.25%로 동결했다. 지난해 6월 기준금리를 1.50%에서 1.25%로 0.25%p 내린 이래 8개월 연속 동결이다. 

미국이 상반기 내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경우 우리나라 역시 금리인상 압박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당장 1300조원에 이르는 가계부채가 가장 큰 문제다. 가계부채에 따른 국민 1인당 평균 빚은 2613만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특히 금융당국은 가계부채가 서민층이 밀집된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 등 제 2금융권에서 급속도로 증가한 점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금리 인상에 따라 대출금리가 오르고 경기 침체가 장기화될 경우 가계부채가 우리 경제의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연착륙을 위해 은행권 대출을 강화하고 있으나 오히려 서민들을 제2금융권으로 내몬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가계부채 증가는 소비 감소로 직결된다. 가계 빚이 늘어나면 소비가 위축, 지출을 줄이기 때문에 국가 전체 소비에도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정부 관계자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 반드시 국내 금리 인상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면서 "우리 경제를 이끄는 핵심 축인 소비가 위축되지 않도록 금융당국의 시나리오에 따라 관리해 나가야 할 것"이라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