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총수들 출국금지 발묶여사드보복, 2차 검찰 수사 등 악재 연속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재계가 최순실 게이트 여파로 몸살을 앓고 있다. 장기간 지속된 검찰, 특검의 수사에 기업경영에 차질을 빚고 있다.

    14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 등 주요 대기업들은 지난해 10월말 검찰 특별수사본부의 조사 대상에 올랐다. 이후 국회 국정조사, 박영수 특검팀 수사 등을 받았고, 최근에는 2차 검찰 특수본 수사를 앞뒀다.

    대기업들은 지속되는 수사 및 조사로 인해 기업경영은 '올스톱'된 상태다. 여기에 중국 정부의 사드보복까지 불거지면서 더욱 상황은 악화되고 있다. 설상가상 미국 트럼프 행정부도 삼성·LG전자가 중국에서 생산한 가정용 세탁기에 반덤핑과세를 해 통상 압력 수위를 높이는 상황이다.

    대기업들은 지난 5개월간 대규모 압수수색과 총수 출국금지, 소환 조사 등에 시달렸다. 최순실 게이트 관련 의혹을 씻기에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특히 국내 대표기업인 삼성은 총수 이재용 부회장을 비롯 최지성 전 부회장 등 전·현직 수뇌부가 일제히 재판에 넘겨졌다. 이 와중에 삼성전자는 미국의 자동차 전장 업체 '하만' 인수 절차를 마무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이 부회장의 장기 부재는 삼성전자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승자의 저주에 빠지지 않으려면 경영장의 리더십 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SK그룹 역시 상황이 좋지 않다. 반도체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도시바 인수전에 뛰어들었으나, 최태원 회장이 출국금지로 발이 묶여 활동에 제약이 걸린 상태다.

    롯데그룹은 중국의 사드보복 조치로 가장 큰 피해를 보고 있다. 중국 현지 롯데마트 점포 99개 가운데 절반 이상이 영업을 하지 못하고 문을 닫았다. 국내에서도 2차 검찰 수사를 신경써야 하는 상태다. 신동빈 회장 역시 출국금지로 발이 묶였다.

    뿐만 아니라 현대차 등 타 주요 기업들도 검찰 수사 가능성이 존재한다. 특검이 이재용 부회장을 기소할 경우 삼성과 미르재단 및 K스포츠재단 출연금 등이 뇌물로 규정된다. 현재 두 재단에 19개 그룹, 50여개 기업이 774억원을 출연금으로 낸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 한 관계자는 "수개월간 수사와 조사가 반복되면서 그룹 본연의 기업활동이 크게 위축됐다"며 "조속히 대기업들이 경영정상화를 이룰 수 있도록 환경이 바뀌길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