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외이사 교체 폭 최소화, 경영안정 체제 유지금융지주·은행 사외이사 교체 비율 16%…대거 잔류
-
올해 금융지주 회장과 은행장 임기 교체 시기가 맞물리면서 사외이사 교체폭은 크지 않았다.
다만 금융권 사외이사 단골손님이었던 교수 출신은 줄고 빈자리를 금융인들이 채워나갔다. 경쟁사 CEO 영입이 유행처럼 번지면서 금융회사 출신 사외이사들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주요 금융지주와 지방금융지주, 시중은행 등 총 15곳의 올해 정기주주총회 선임 예정 신규 사외이사는 총 1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금융사 사외이사 75명 가운데 63명이 잔류하는 셈이다. 올해 사외이사 교체 비율은 16%에 불과했다.
신한은행과 국민은행의 경우 올해 3월 사외이사 임기가 끝나지만 아직 연임 여부를 결정하지 않아 제외했다.
연초 대부분의 금융사 CEO들이 연임에 성공했고, 오는 하반기 KB금융과 내년 상반기 하나금융 등 굵직굵직한 금융지주사 회장 임기가 끝나는 만큼 사외이사 교체폭을 최소화하고 안정 체제를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소폭 교체 속에서도 변화의 바람은 불었다. 지난해부터 금융사들이 경쟁사 전임 CEO 모시기에 공을 들이면서 금융인 출신 사외이사들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기준 금융사 출신 사외이사는 12명이었지만 올해는 14명으로 확대됐다.
사외이사 구성원 성격이 가장 많이 바뀐 곳은 바로 우리은행이다. 민영화 이후 과점주주를 대표하는 신규 사외이사들이 투입되면서 '낙하산 둥지' 오명을 벗는데 성공했다는 평가다.
과거 우리은행 사외이사들은 6명 중 무려 5명이 교수 출신이었고 정치권 인사도 포함돼 정피아(정치권+마피아) 논란에 시달려왔다.
그동안 대주주가 정부 산하기관 예금보험공사였기 때문에 정치권 입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하지만 민영화 이후 달라진 면모를 뽐냈다. 사외이사 5명 가운데 신상훈 전 신한금융 사장과 장동우 IMM인베스트먼트 대표 등 금융사 출신 비중이 늘었다.
노성태 전 한화생명 경제연구원장과 박상용 연세대 교수 등 학계 인사들이 있긴 하지만 과거보다 비중이 줄어든 셈이다.
KB금융도 스튜어트 솔로몬 전 한국메트라이프생명 회장을 사외이사로 영입하면서 이번 주총 때 스포트라이트를 받을 전망이다.
사외이사 외국인 비중을 늘리고 생명보험 위상도 높이는 전략을 펼치면서 업계의 시선을 끌고 있다. KB금융은 이사회 자문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솔로몬 전 회장을 이사로 추천했다고 밝힌 바 있다.
반면 지방금융사는 여전히 학계 출신 사외이사들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NK금융은 지주와 은행 두 곳에서 선임됐던 김창수 사외이사가 물러난 자리에 김영재 사외이사를 신규 선임했다. 두 사람 모두 부산대 교수 출신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로써 BNK금융지주와 부산은행은 교수 출신 사외이사 숫자는 각각 2명, 1명으로 지난해와 같은 수준을 유지하게 됐다.
DGB금융 역시 지주와 은행에서 올해 전경태 계명대 교수와 서균석 안동대 교수를 새로운 사외이사로 앉혔다. 관련 지역 출신 교수들을 우대하면서 친정체제를 확실히 구축하는 모양새다.
올해는 고위 공직자 출신 사외이사들도 소폭 늘었다.
하나은행은 서울고등법원 판사, 대통령 민정수석실 법무비서관을 거친 황덕남 서울법원조정센터 상임조정위원을 사외이사로 영입했다.
신한금융지주도 주재성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을 신규 선임했고, 헌법재판소 재판관 출신인 이상경 사외이사의 임기를 1년 더 연장했다.
지방금융사들도 권력 기관 출신인 사외이사들을 대거 잔류시켰다.
JB금융지주는 한국투자공사 준법감시인 출신 이용신 사외이사를, 광주은행은 한국전력에서 영업본부장 상임이사를 거친 장명철 사외이사의 임기를 늘렸다.
특히 광주은행은 최근 송현 전 금융감독원 저축은행검사국장을 신임 상임감사위원 자리에 선임하며 금감원 출신 인력을 탄탄히 보강했다.
현재 금감원 출신인 강상백 사외이사도 임기 중에 있어 광주은행 내 요직에 금감원 출신 인사 비중이 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 관계자는 "실제로 금융사 사외이사들은 경영 감시보다 개인 인맥을 활용해 금융사를 돕는 역할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이와 같은 추세를 반영해 금융인이나 감독 당국 출신 사외이사들이 증가하는 것 같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