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차례 사채권자 집회서 부결 한 차례도 안나야

  • ▲ 산업은행 이동걸 회장(오른쪽)과 수출입은행 최종구 행장이 지난 23일 공동으로 대우조선해양 지원방안에 대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뉴데일리
    ▲ 산업은행 이동걸 회장(오른쪽)과 수출입은행 최종구 행장이 지난 23일 공동으로 대우조선해양 지원방안에 대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뉴데일리


정부가 국책은행인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을 통해 신규자금 2조9천억원을 투입하기로 했지만 지원이 이뤄지기까지 갈 길이 멀다. 

정부 지원안에는 모든 이해당사자의 채무재조정을 전제로 하고 있어 사채권자가 이를 외면할 경우 P플랜이라는 먼 길을 돌아야 한다. 

대우조선해양은 24일 이사회를 열고 사채권자 소집일을 확정하기로 했다. 내달 중순부터 총 6차례에 걸쳐 집회를 열고 정부의 채무재조정 방안에 대한 찬반을 묻는다. 

금융당국과 채권단은 캐스팅보트를 국민연금이 쥐고 있다고 보고 있다. 

국민연금이 보유한 대우조선 회사채만 3900억원에 이른다. 우정사업본부(1800억) 등 다른 기관투자가 역시 국민연금의 결정에 따라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 

국민연금은 아직까지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일단 이달 중으로 투자관리위원회를 개최해 대우조선해양 회사채 부실 관련 심의를 열기로 했다. 심의 내용은 이후 투자위원회 안건으로 상정, 의결 절차를 거치게 된다. 

업계에서는 국민연금이 채무조정안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채무재조정에 동의한 뒤 대우조선이 정상화에 실패했을 때 '국민의 노후자금'에 손해를 끼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미 삼성물산 합병 건으로 논란을 겪은 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국민연금이 불참 등의 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을 가능성도 나온다. 이 경우, 국민연금이 전체 회사채서 차지하는 비중이 많은 데다 다른 기관 등에도 영향을 끼쳐 결국 부결로 이어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사채권자 집회서 가결되기 위해서는 총 채권액의 1/3 이상이 참석하고 참석 채권액의 2/3가 동의해야 한다. 이같은 과정을 6차례나 겪어야 한다. 한 번이라도 부결이 나면 대우조선해양은 P플랜(사전회생계획제도)으로 갈 수밖에 없다. 

P플랜은 법정관리와 워크아웃을 결합한 제도로 채권단의 자금 지원을 전제로 3개월가량 법정관리를 통해 채무를 조정한 뒤 채권단이 신규 자금을 투입하는 방식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사채권자 집회서 가결되지 않을 경우 현재로서 P플랜을 대비하는 방법 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