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까지 투자자 참여 2000억원 규모 설정사회문제 해결할 한국임팩트금융 설립 추진
-
민간투자자 주도로 사회적기업의 자금을 지원하는 임팩트금융이 닻을 올렸다.
추진위는 참여정부 시절 경제수장을 맡았던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를 필두로 각계 주요 인사 20여명으로 구성됐다.
이날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는 "사회적 변화가 빠른 만큼 문제도 다양해져 정부의 일방적인 톱다운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라며 "공동체 참여자 중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창의적 노력을 뒷받침하고 모든 에너지를 동원해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구성하는데 연결고리를 만들 것"이라고 소감을 말했다.
임팩트금융은 금융 약자인 저신용 취약계층에게 금융의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환경 문제를 개선하는 기업 및 프로젝트에 지금을 유통하는 것을 일컫는다. 사회문제를 해결하면서 재무적 이윤을 창출하는 금융이라고 볼 수 있다.
임팩트금융추진위는 민간 재원을 유치해 '한국임팩트금융' 설립하고 민관협력형 정책기구인 '국가임팩트금융자문위원회' 구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한국임팩트금융은 유한회사 형태로 설립돼 컨트롤타워 지주회사 역할을 하게 된다. 산하에 투자 및 출자를 전문으로 하는 임팩트캐피털코리아를 둔다.
임팩트캐티털코리아는 소설벤처·사회적기업 펀드, 소셜부동산·지역재생 펀드, 소셜 프로젝트 펀드, 임팩트투자기관 펀드 등을 우선 운용할 방침이다. 기존 한국사회투자는 대출과 지원업무를 담당한다.
임팩트금융추진위는 올해 말까지 700억원 규모의 출연 및 기부 재원을 유치하고 일반투자자 참여 목표를 2000억원 규모로 설정했다.
한국임팩트금융은 전적으로 민간조직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출연 및 기금 모음이 관건이다. 현재 첫 번째 투자 사업이나 기업은 정해지지 않은 상태다.
임팩트금융의 실무적인 역할을 수행할 한국사회투자 이종수 이사장은 "기존 금융은 수익 창출이 목표지만 임팩트금융은 사회적 문제 해결이 먼저다"라며 "사회적·재무적 가치를 함께 추구하되 수익률은 기관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정도로 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과거 국내 임팩트금융은 대부분 정부 주도하에 진행됐다. 지난 2007년 제정된 사회적기업육성법과 2012년의 협동조합기본법, 서울시 사회투자기금 도입 등이 그 예다.
정부 지원으로 인해 빠르게 발전할 수 있었지만 국내 임팩트금융 누적 총량은 1300억원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부분도 대부분 정부의 재원으로 이뤄져 있다.
이에 이헌재 전 총리는 "기업 등 몇몇 곳에서 긍정적인 참여 의사를 표현했다"며 "사회적 임팩트금융은 정권 차원 문제가 아닌 공동체의 지속가능성 차원에서 추진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새정부 정책방향과 연결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정부와의 교감은 없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