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이후 2분기도 호실적 기대2대 주주 블록딜·정치 이슈·부동산 규제책 등 걸림돌 산재
  • ▲ 서울 종로구 소재 대우건설 본사. ⓒ뉴데일리경제 DB
    ▲ 서울 종로구 소재 대우건설 본사. ⓒ뉴데일리경제 DB


    대우건설 지분 50.75%를 보유한 사모펀드 'KDB밸류 제6호' 만기가 다가오는 가운데 대우건설 매각작업이 좀처럼 본궤도에 오르질 못하고 있다. 지난해 말 '빅배스' 이후 실적 개선세는 이어지고 있지만, 답보상태인 주가와 끊이지 않는 정치적 이슈에 엮이면서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장기적 안목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20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대우건설 2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2분기 대비 87.7% 증가한 1984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우건설은 지난해 잠재손실을 일시에 털어버리는 빅배스를 단행한 이후 올해부터 눈에 띄게 실적이 개선됐다. 1분기에는 영업이익 2211억원을 기록하면서 분기 기준 역대 최대를 달성했으며, 2분기 역시 이보다 10%가량 줄어들 것으로 추정되지만, 주택부문 매출이 늘어나고 준공공사 이익이 인식되고 있는 만큼 올 한 해 실적 개선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박상연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양호한 분양물량과 견고한 국내 매출 지속이 밑바탕이 됐다"며 "여기에 해외 부문은 2013년 이후 4년간 원가율 100% 이상을 기록하면서 적자를 기록해 왔으나, 전분기에 이어 흑자전환 기조를 지속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실적 개선세와는 달리 매각작업에 걸림돌이 산재해 있다. 우선 제자리걸음 중인 주가에 반등할 이슈는커녕 오히려 악재가 예고된 상황이다.

    대우건설의 2대 주주인 IBK-케이스톤 PEF(에스이비티투자유한회사)는 이르면 내달 3차 블록딜(시간 외 대량매매)에 나설 예정이다. 에스이비티는 앞서 2012년 8월 대우건설 지분 12.28%를 사들여 2대 주주에 올랐다.

    4년여간 보유하다 지난 4월 1차 블록딜(1.68%)에 이어 지난달 2차 블록(5.78%)으로 지분을 상당 부분 털어냈다. 내달 3차 블록딜로 나머지 지분을 모두 처분해 투자금 회수에 나설 예정이다.

    잇단 블록딜 추진은 대우건설 주가에 악영향만 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앞선 1·2차 블록딜 당시 대우건설 주가는 각각 4.64%, 6.28% 내려앉았다. 처분 예정인 지분이 4%가 넘는 만큼 주가가 2~3% 추가 조정 받을 수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렇다보니 주가를 1만원 이상으로 끌어올려 오는 8월 매각주간사를 선정하는 등 매각작업에 박차를 가하려했던 KDB산업은행 계획이 물거품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올 들어 실적개선과 매각이슈로 52주 신고가(8180원, 5월23일)를 기록하는 등 주가 반등에 성공했지만, 블록딜과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으로 분위기가 이전으로 돌아간 것이다.

    A투자증권 건설 담당 애널리스트는 "대우건설 주가가 전날 6000원대로 떨어진데다 한 차례 블록딜 악재가 더 남아있어 단기간에 산업은행이 적정 주가로 판단하는 1만원대 진입이 가능할지 미지수"라며 "매각 본격화, 2분기 호실적 등에도 주가가 크게 오르지 않으면 산은은 매각 진행에 어려움을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걸림돌로는 정치권 리스크다. 대우건설의 최대주주인 산은이 공공 금융기관이다 보니 정권 교체로 인해 매각에 대한 스탠스가 바뀔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이동걸 회장의 거취가 달라질 수 있다. 이 회장은 2012년 대선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의 선거캠프에서 금융인 모임을 이끄는 등 대표적 '친박' 인사로 꼽힌다.

    재계 한 관계자는 "천문학적인 공적자금이 투입된 회사를 매각하는 중대한 업무라는 점에서 새 정부의 의중이 반영될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며 "만약 수장 교체가 현실화될 경우 기존 방침대로 매각작업이 진행될 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또한 문재인 정부에서 부동산 규제 카드를 꺼내들면서 부동산시장이 얼어붙을 가능성이 커진 것도 매각에 걸림돌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대우건설은 2010년 이후 7년 연속 주택공급실적 1위를 기록하는 등 국내 주택사업 강자로 알려져 있다.

    올 상반기 최대어 중 하나인 과천주공1단지 재건축 사업을 수주하는 등 올해도 재건축·재개발 등 도시정비사업 수주전에서 경쟁사들에 비해 한 발 앞서면서 국내 주택사업의 대표주자로 활약하고 있지만, 정부의 부동산 규제책에 발목을 잡힐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진단이다.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등 정부는 전날 서울 강남·부산 등 이상 과열 지역을 겨냥한 금융과 청약규제 강화 등 핀셋대책(부동산 안정화 대책)을 발표해 분양시장 잡기에 나섰다. 최근 몇 년간 주택경기 호황으로 호실적을 거둬왔으나, 앞으로는 실적 상승세가 꺾일 수도 있어 보인다.

    강동창 한국신용평가 애널리스트는 "수익창출 측면에서 주택부문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하고 있는 대우건설 입장에서는 주택경기의 지속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져 영업실적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주택경기 둔화로 미분양이 다시 증가하거나 주택가격이 하락세로 돌아설 경우 장기적인 관점에서 영업실적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서둘러 매각하는 게 능사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호실적에도 불안정해 보이는 매각작업을 서두를 것이 아니라 제대로 된 매각주체에 넘겨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산은 입장에서는 지난해 연기된 대우건설 매각을 하루라도 빨리 털어버리고 싶은 심정이겠지만, 호실적을 바탕으로 한 주가가 회복되지 않으면 해당 펀드 만기인 10월 이전에 매각하기가 어려울 수밖에 없다"며 "침체가 예상되는 국내 주택사업과 여전히 불투명한 해외사업 등 업황도 부정적이라 매입하려는 주체가 쉽게 나설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고 귀띔했다.

    그는 이어 "주인이 없어 늘 바람 잘 날이 없던 대우건설에게 제대로 된 주인을 맞이해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데 주안점을 둬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