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약산업의 고용증가율이 제조업의 2배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제약산업이 일자리 창출에 지속적을 기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7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데 따르면 의약품 제조업의 2005~2015년 사이 연평균 고용증가율은 3.9%로 제조업(1.6%)의 2.4배에 달했다. 이 기간 전체 산업의 연평균 고용증가율 2.6% 보다도 높은 수치다.
산업별 종사자 수를 살펴보면 의약품제조업의 일자리는 가파르게 증가했다.
제조업 종사자가 2005년 343만3000명에서 2015년 400만6000명으로 16% 늘어나는 동안 의약품제조업 종사자는 65만3명에서 94만510명으로 45% 증가했다.
생산액 대비 일자리 창출 수치도 의약품제조업이 제조업에 비해 훨씬 많았다.
2014년도 제조업 전체 생산액은 2005년도에 비해 90.5% 증가했으나 고용은 11.6% 늘어나는데 그쳤다.
반면 같은 기간 의약품제조업의 생산액 증가율은 54.9% 수준이지만 고용증가율은 37.9%로 제조업보다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생산 금액당 고용인원수로 환산하면 제조업이 4.5억원당 1명을 고용할 때 의약품제조업은 1.8억원당 1명을 고용한 셈이다.
특히 제약업계는 전 산업계에서 청년고용 증가 비중이 가장 높은 산업으로 나타났다.
고용정보원이 지난 2009년부터 2014년까지 5년간 청년 고용이 증가된 기업을 분석한 결과 의약품제조업이 45.5%로 전 산업에서 가장 비중이 컸다. 이 기간동안 제약기업 10군데 중 4.5군데는 청년고용을 늘렸다는 것을 뜻한다. 이는 제조업(27.6%)과 전 산업(23.4%)을 훨씬 상회하는 수준이다.
고용 안정성을 나타내는 정규직 임직원 비율도 제약산업이 더 높았다. 의약품제조업의 정규직 비율은 2015년 기준 91.4%로 제조업(86.3%)보다 5.1% 높았다. 같은 기간 전 산업군의 정규직 비율은 평균 67.5%였다.
한편 제약업계 석 박사급 전문 인력 유입 추세도 두드러진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2014년 발표한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의약품업종에 채용된 연구인력 가운데 석·박사 비중은 71.7%로, 산업 전체(32.5%)는 물론 제약산업 업종이 포함된 제조업 평균(33.7%)보다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