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전문가 "기대와 우려 동시에…"
  • ▲ 10일 교육부가 '2021학년도 수능 개편 시안'을 발표하면서 입시전문가들은 절대평가 도입에 대해 기대와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뉴데일리DB
    ▲ 10일 교육부가 '2021학년도 수능 개편 시안'을 발표하면서 입시전문가들은 절대평가 도입에 대해 기대와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뉴데일리DB


    현재 중학교 3학년이 치르는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절대평가 도입은 일부 또는 전 과목 적용을 다투게 됐다.

    일부 과목만 도입될 경우 새로 신설되는 통합사회·과학 과목과 제2외국어/한문, 기존 한국사, 영어 영역 등 4과목이 절대평가로 시험을 치르게 된다. 전 과목에 적용한다면 국어, 수학 등은 모두 상대평가에서 전환된다.

    교육부는 2021학년도 수능 개편 시안을 10일 발표하면서 절대평가에 대해선 2개 방안 중 하나를 선택한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수능 개편안은 공청회를 통한 의견수렴 과정 등을 거쳐 이달 말 최종안을 확정하지만, 절대평가 도입은 이견이 있기에 '양자택일'로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내세운 것이다.

    박춘란 교육부 차관은 "그동안 시안 마련을 위한 교사, 입시전문가 등 의견수렴을 진행한 결과 수능 절대평가 방향에 대해서는 공감했다. 다만 적용 범위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이 다수였다"고 말했다.

    수능 절대평가 도입과 관련해 입시전문가들은 일부 과목에 적용된다면 특정 영역에 대한 사교육 의존도가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전 과목에 도입될 경우 변별력 악화에 따른 대학 본고사 부활 가능성이 높아 수험생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치우 비상교육 입시평가실장은 "일부 과목 절대평가의 경우, 상대평가 과목인 국어와 수학을 중심으로 한 사교육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 상대평가는 학습량이 많아지기에 변별력 확보를 위해 난이도는 높아지게 된다. 이에 과목 쏠림 현상에 이은 학습량 증가, 난이도 상승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전 과목 절대평가에 대해선 "변별력 약화로 인해 대입 정시에서 수능 이외에 대학별고사 또는 학생부 성적을 병행해 선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수능만 준비해도 되는 현 정시보다 부담이 더 커지게 되는 것이다. 등급 향상에 대한 반수, 재수 등 N수생이 기대감도 높아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일부 과목 절대평가는 학생, 학부모 입장에서 수능 체제 변화를 최소화해 대입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지만 사교육 의존 현상을 해소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교육 현장 우려에도 전 과목 절대평가는 수능 부담 경감으로 공교육 정상화를 이루려는 정책으로 예측된다. 다만 공정성 시비는 해소되지 않을 것이다. 2개 안 모두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고 덧붙였다.

    일부 적용은 현 수능 제도와 큰 변화가 없어 혼란을 최소화하지만 상대평가 쏠림 현상이, 전체 도입은 수능 부담은 줄지만 대학별고사 등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이번 수능 시안에서는 절대평가 도입과 함께 응시 과목 신설 및 선택과목 조정, 출제 범위 변화 등을 예고했다. 최종안에 담길 내용 중 EBS 연계 방향도 관심이 쏠린다.

    그동안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EBS 연계 비율을 70% 유지했다. 반면 학교 현장에서 EBS 교재를 활용한 문제풀이 수업 등이 지적돼왔고 이와 관련해 교육부는 수능과 EBS 연계 개선 방향으로 단계적 축소·폐지 또는 연계방식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교육부는 연계율 축소·폐지 시 사교육비 및 학습량 증가에 따른 부담이 확대, 연계 방식이 달라지면 간접연계율 확대로 EBS 체감률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이만기 유웨이중앙교육 교육평가연구소장은 "EBS 축소·폐지의 경우 문제 풀이 범위가 넓어지기에 수험생 부담이 커진다. 사교육 의존도가 늘 수 있다. 연계방식 개선은 수험생이 변형된 문제를 EBS 연계성을 느끼지 못할 수 있다. 문제 출제에 있어 현재보다 더 변형된 문제에 신경을 쓸 것이다"고 분석했다.

    수능-EBS 연계 방향은 절대평가 도입과 더불어 향후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이번 수능 개편과 관련해 교육부는 이달 31일 공청회 의견수렴 등을 거쳐 최종안을 발표한다.

    교육계에서는 교육부가 충분한 의견수렴 등을 거쳐 수능 개편안을 확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교육 현장의 의견수렴, 국민적 합의를 거쳐 2021학년도 수능 개편 방안이 확정해주길 바란다. 교육계는 물론 모든 국민이 큰 관심을 가지는 만큼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수능 방안이 도출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