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률 상향 조정에 기준금리 인상까지 '다사다난' 한 해"국내 가계 이자부담 불가피하지만 실물경제 전반 영향 미미"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20일 마련된 송년 만찬 기자간담회에서 "여러가지 제반 상황을 고려했을 때 금리인상 적기를 판단하지, 임기 중에 금리 변동 스케줄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업계에서는 이주열 총재 임기가 내년 3월 말 만료되는 만큼 임기가 끝나기 전에 금리를 한 번 더 인상하고 퇴임할 수 있다는 주장이 솔솔 제기되고 있다.
우선 추가 상향 조정은 기정사실로 자리잡은 가운데 문제는 그 시기와 횟수다. 현재까지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추가 인상 시기로는 2월이나 7월이 거론되고 있다.
이주열 총재는 "세간에서는 임기와 통화정책을 연관지어 보고 있지만, 지금까지 계속 말해왔듯이 전혀 관련 없다"며 "국내 경기의 견실한 회복세에 따라 금리정책 정상화의 첫 걸음을 내딛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내년 추가 인상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금리 인상 시기를 미리 예단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일축했다.
그는 "성장과 물가의 흐름을 면밀히 짚어보고 금융안정상황도 일정부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한두달 후 지표나 여건변화 등을 계속 주시하고 그때 가장 맞는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올해 한국은행은 그야말로 다사다난한 한 해였다. 세계 경제의 회복세가 강화됨에 따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대로 상향했고, 기준금리를 0.25% 전격 인상하면서 최저금리 시대의 막을 내렸다.
6년5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전격 올리게 된 배경에 대해서는 시장 불안이 우려했던 것보다 크게 나타나지 않았고, 국제금융시장의 비교적 안정된 움직임을 보였으며 국내 경제의 대외지급능력이나 충격흡수능력이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큰 작용을 했다고 설명했다.금리 상승으로 인한 늘어나는 가계의 이자부담에 대한 견해도 밝혔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장금리도 동반상승하면서 이자부담이 늘어나는 것은 불가피한 현상이라면서도 실물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라고 강조했다.이주열 총재는 "금리가 오르면 자산보다 부채를 더 보유한 가계의 이자부담은 늘어나는 게 당연하고, 금리가 누적돼 큰 폭으로 오르면 그 효과는 더 크게 나타날 것"이라며 "지난달에 금리를 한 번 올린 것으로 이자부담이 늘어나는 것이 국내 경제에 영향을 주는 것까지 걱정할 상황은 아니다"고 생각을 밝혔다.만약 앞으로 금리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한다면 효과를 지켜보면서 그때 가계들의 이자부담을 다시 짚어볼 상황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