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수도권 상승 확산 vs 수도권-서울 순으로 조정 진입
-
글로벌 채권 금리 급등 여파로 국내 자산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전문가들 사이에서 부동산시장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일각에선 올해 국내 부동산시장이 서울을 시작으로 점차 수도권, 지방 등으로 상승세가 확산할 것이라는 전망을 유지했다.그러나 한편에선 정부 규제와 금리 인상이 맞물려 부동산 가격이 경기도에서 서울 순으로 안정화 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다.증권가에서 부동산시장 전문가로 알려진 채상욱 하나금융투자 수석연구위원은 9일 "부동산 가격은 물가 상승을 전제로 올라가고 있는 데다 최근 글로벌 채권 금리급등에도 올해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전망은 달라지지 않았다"고 분석했다.그러면서 "한은의 올해 두 차례 금리 인상 전망이 우세한 상황에서 이미 부동산 가격에 인상 가능성이 반영됐다"며 "부동산 가격은 금리가 오르는 시기에 상승세를 나타냈다가 금리가 높은 수준에 도달하면 그때야 조정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그는 "올해 부동산시장은 상반기 서울이 오름세를 보이기 시작해 하반기 수도권 전반까지 오름세가 확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각종 개발계획과 지방자치단체 선거가 모멘텀으로 꼽혔다.채 연구위원은 정부의 균형 발전 계획까지 고려하면 혁신도시 등 지방으로도 상승 기류가 퍼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그는 그러나 "국내 부동산시장은 경기가 나빠지면 기간조정을 받겠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외부충격이 오면 꺾일 것"이라고 관측했다.이상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도 "금리급등 영향은 없다"며 올해 부동산시장이 상승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점쳤다.반면 김형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부동산시장이 올해 금리 인상과 규제정책, 구매심리 악화로 조정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했다.그는 "작년 하반기부터 지방 주택가격이 조정을 받기 시작했고 올해 상반기 경기도, 하반기 서울로 각각 확산하면서 전체 부동산시장이 조정 국면에 들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김 연구원은 "특히 부동산시장은 금리 영향을 벗어나기 어렵다"며 "지속적인 기준금리 인상은 주탬담보대출 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부동산 대출자 이자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고 분석했다.또 집값 상승과 주택 이자비용 증가로 임대수익률이 낮아진 상황에서 추가로 종합부동산세를 올리면 임대수익률은 더 악화해 구매력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여기에 입주물량이 급증한 지역에선 역전세 현상이 생기고 장기적으로 기존 주택가격 하락이 불가피하다고 봤다. 입주 물량은 작년 38만3천가구에서 올해 45만가구로 17.5% 늘어날 전망이다.김 연구원은 "강남 4구에선 재건축 기대로 급등한 아파트 중 '관리처분계획인가'를 신청하지 못한 경우 사업 추진 장기화로 점진적인 조정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