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가격 담합 등 조사 나서자국 수요 업체 불만 고조 이유… "실상은 반도체 육성 위한 견제"
  • ▲ ⓒSK하이닉스
    ▲ ⓒSK하이닉스
    중국 정부가 자국의 반도체산업 육성을 위해 한국 등 글로벌 반도체 업체에 대한 견제 수위를 높이고 있다. D램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자 반독점법을 내세워 노골적으로 압박에 나서고 있는 것.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지난달 31일 베이징, 상하이, 선전 등에 있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의 사무실에 갑작스레 들이닥쳐 반독점 조사를 벌였다. 이들 3사의 전 세계 D램과 낸드플래시 시장 점유율은 각각 90%·50%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메모리 반도체 가격 급등 배경에 가격 담합 등을 통한 시세 조정이 있었는지, 반도체 공급 부족을 악용해 끼워팔기 등 위법 행위가 있었는지 등을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5월 기준 D램 PC용 표준 제품인 'DDR4 4Gb(기가비트) 512Mx8 2133MHz'의 평균 거래가격은 3.94달러로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조사는 중국 수요 업체들의 불만이 고조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수요업체들의 경우 반도체에 대한 해외 의존도가 높다. 최근에는 4차산업 육성으로 반도체 소비 역시 증가세를 보이는 상황이다.

    지난해 말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은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에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계속 오르는 데다 공급이 원활하지 않다"며 불만을 호소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중국은 반도체 굴기를 위해 해외업체를 견제하려는 심리도 커지는 양상이다. 중국은 자국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 3천억 위안(약 51조498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2014년 조성된 펀드는 지난해 말까지 약 70개 프로적트에 투자됐다. 이를 통해 중국 반도체 업체들의 설비 가동도 내년에는 본격화될 전망이다.

    중국 칭화유니그룹과 푸젠진화반도체는 각각 낸드플래시와 D램을 내년 하반기 경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며, 창장메모리(YMTC)는 내년 상반기 32단 낸드플래시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최근에는 클라우드 인공지능(AI) 칩을 공개하는 등 차세대 반도체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