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버거병 사태 각업체 매출 감소·매장 축소 임대료·최저임금 인상까지 이중고
-
맥도날드의 덜 익은 고기 패티를 먹고 '용혈성 요독성 증후군(Hemolytic Uremic Syndrome, 이하 HUS)', 일명 '햄버거병'에 걸렸다고 주장하는 피해자가 등장한지 일 년의 시간이 흘렀다. 맥도날드는 무혐의 처분을 받았지만 한국맥도날드가 그동안 쌓아왔던 이미지에는 치명타을 입었다. 문제는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민감도가 예민해지면서 햄버거 프랜차이즈업계도 지난해 실적 감소가 이어졌다. 햄버거병 사태 이후 신뢰 회복에 나서고 있는 보내고 있는 맥도날드와 업계의 현실과 위기 극복을 위한 노력을 다각도로 살펴본다.<편집자주>
햄버거병 사태 이후 국내 패스트푸드업계의 위생 문제 등으로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떨어지면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 맥도날드 뿐만 아니라 업계 전반으로 경기불황에 따른 소비침체로 수익성이 정체된 가운데 햄버거병 사태로 매출 감소 등의 우려가 점점 확산된고 있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롯데리아, 버거킹, 맘스터치 등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당장 우려가 될 수준의 매출감소는 아니지만 회사 차원에서 위기감을 느끼기에 충분하다는 목소리다.
롯데리아는 지난해 3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전년 대비 83.4% 감소했다.
버거킹을 전개하는 비케이알의 지난해 매출 3458억5000여만원으로 2016년 2531억6000여만원에 비해 36.6% 증가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14억7000으로 전년 동기 대비 86% 하락했다.
특히 버거킹은 2100억원에 홍콩계 사모펀드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에 매각된 후 고가이미지를 벗어나 수익위주의 공격적인 할인마케팅을 추진해 온 버거킹으로서는 성적표가 반갑지 않은 상황이다.
KFC를 운영하는 KFC코리아 역시 지난해 영업손실은 173억4100만원으로 38.2%으로 증가했다. 맘스터치를 운영하는 해마로푸드서비스는 지난해 매출 239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155억원으로 8.5% 감소했다.
이들의 매장 수도 감소 추세다. 대표적으로 롯데리아 매장수는 2016년 1328개에서 2017년 1350개로 22개 늘었지만 올 들어서는 오히려 2개가 감소했다.
햄버거 프랜차이즈업계가 이처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유는 주요 상권의 경우 재계약 시 많게는 기존 임대료의 두 배에서 적게는 두 자릿 수 이상 인상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임대료 인상에 따른 부담이 크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올해부터 최저임금이 16%가량 오르면서 이중고를 버티지 못하고 문 닫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업계의 '랜드마크' 역할을 했던 매장들이 줄줄이 문을 닫고 있다. 주요 소비층인 1020대가 모이는 핵심 상권에서 몇 년간 운영하던 매장의 문을 닫은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맥도날드는 서울대입구점·사당점·부산서면점·용인단대점도 문을 닫았다. 이 외에도 1998년 문을 연 지 20년 만 동안 자리를 지켜온 신촌점도 4월 끝으로 영업을 종료했다.
버거킹도 지난 3월 끝으로 회기점 매장을 철수했다. 서울 경희대학교 근처에 자리했던 회기점은 대학생 등 1020대들의 대표적인 약속 장소로 꼽히며 1990년대 후반 버커킹의 성장을 이끌었다.
여기에 지난해 용혈성 요독성 증후군, 일명 햄버거 병이 햄버거 프랜차이즈 업계에 가져온 파장은 컸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이 지자 업계가 품질, 안전 관리에 더욱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프랜차이즈간 경쟁 심화와 각종 악재가 잇따르면서 햄버거 업계가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식약처는 햄버거병 재발 방지를 위해 햄버거 패티용 식용제품 안전관리 제도 개선에 나섰다.
현재는 식육가공업자는 여러 가지 품목을 생산할 경우에는 한 가지 품목만 검사하면 된다. 식약처는 축산물위생관리법 시행규칙을 개정해 생산 및 유통량이 가장 많은 품목을 검사하도록 하는 등 검사대상을 합리적으로 선정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또 식육가공업 영업자가 생산한 분쇄가공육제품에 대해서는 매출액을 기준으로 단계적으로 HACCP(식품안전관리인증) 적용을 의무화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업체가 스스로 검사를 강화하도록 하는 동시에 정부도 관리·감독을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