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차주 DSR 67.6%…전체 차주보다 높아"소득여건 악화, 대출금리 상승시 더 어려워"
  • ▲ ⓒ한국은행
    ▲ ⓒ한국은행
    1500조원을 돌파한 가계부채의 절대수준이 여전히 높은 가운데 소득 증가율을 장기간 상회하고 있다.

    여기서 문제는 소득여건 악화와 대출금리 추가 상승, 부동산시장 위축 시 취약차주의 빚 상환이 더 어려진다는거다.

    20일 한국은행이 국회에 제출한 '2018년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가계대출 차주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2012년 말 34.2%에서 올해 2분기 말 38.8%로 상승했다.

    DSR은 차주가 갚아야할 원리금을 연소득으로 나눠 산출한 것으로 수치가 높을 수록 빚 부담이 크다는 걸 의미한다.

    우리나라 DSR은 주요국과 비교해도 높은 편이다. 지난 2008년 이후 BIS 17개 회원국 중 상당수가 하락한 것과 달리 우리나라는 0.9%포인트 상승했다. 

    미국, 이탈리아, 호주 등은 각각 -3.6%포인트, -0.9%포인트, -1.2%포인트 하락했다.

    전체 가계 중 취약차주의 DSR 수준이 월등히 높았다. 취약차주는 3개 이상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하위 30%)이거나 저신용(7~10등급) 차주를 말한다.

    취약차주의 2분기 말 DSR은 67.6%로 전체 차주(38.8%) 수준보다 두 배가량 높았다. 취약차주의 소득 70%가량이 빚 갚는데 쓰는 셈이다.

    이처럼 취약차주 DSR 수준이 높은데다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높은 신용대출 및 비은행대출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 대출금리 상승 시 채무상환부담이 가중될 가능성이 크다.

    한은 관계자는 "신용등급·소득수준별 특성을 보면 2012년 말 이후 고신용·고소득 차주 비중이 높다"며 "하지만 저소득자, 60대 이상, 다중채무자 비중이 전체 차주보다 높고 취약차주 비중도 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은 자산 측면에서는 양호하지만, 소득 측면에서는 점진적으로 악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정부의 각종 대출 규제로 가계 빚 규모 자체는 상당 폭 줄어들 것으로 분석했다. 

    가계부채는 3분기 기준 1514조원으로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증가율이 점차 낮아지는 가운데 최근 들어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도 소폭 둔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