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종 주가순자산비율 2000년 금융위기보다 낮아져정부 잇따른 규제속 역사적 저점에도 반등요인 못찾아증권가 추가 규제 가능성도…"집값 대신 주가만 잡아"
  •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발표 이후 건설주가 다시 휘청인다.

    건설주를 두고 반복된 악재로 인해 낮아진 주가는 당분간 회복되기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현재 코스피 건설업의 PBR은 0.62배로 2008년 금융위기의 0.68배, 2017년 부동산 규제가 처음 강화로 돌아섰을 때인 0.63배 보다도 낮아진 상황이다.

    PBR은 주가 대비 주당 순자산의 비율로, PBR가 1배 미만이면 시가총액이 장부상 순자산가치(청산가치)에도 못 미칠 정도로 평가되는데 건설업종은 시가총액이 회사 순자산(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부분)의 절반 수준까지 떨어지고 있다는 뜻이다.

    건설주는 연초 대형 해외 프로젝트 및 국내 석유화학 플랜트 발주 기대감이 있었다.

    반면 해외수주 계약 지연 및 취소, 분양가 상한제 등 정부의 연이은 부동산 규제, 이에 따른 주택분양 및 주택실적 축소 등이 주가 하락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 16일 발표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은 다시 한번 건설업종에 직격탄이 됐다.

    대우건설 주가는 전일대비 2.76% 하락했고, 현대건설은 1.62%, 대림산업은 1.43%, GS건설은 0.16% 하락하는 등 주요 상장 건설사들의 주가가 동반 하락했다.

    건설주들이 이미 실적 우려에 더해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도입으로 하반기 내내 주가가 부진했고, 이번에 정부의 강력한 규제가 더해져 당분간 상승 모멘텀을 찾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대책 발표로 건설주 주가는 최근 1년여만에 40%가량 하락했다.

    건설주에 더 부정적인 이슈는 이번 규제가 끝이 아니라는 점이다.

    증권업계는 16일 정부 정책을 통해 주택 시장 규제 의지를 다시한번 확인하면서 이번 방안의 정책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추가 규제에 대한 가능성도 거론 중이다.

    송유림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방안은 LTV, 전세자금 대출을 비롯한 대출 규제부터 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 등 세금, 분양가상한제, 시장 점검 등 갖가지 규제들이 총망라돼 발표됐다"며 "규제의 강도나 범위에 있어 주택시장 안정화에 대한 정부의 의지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특히 추가 규제의 가능성도 덧붙여 이제는 끝이라고 단정짓기도 어려워졌다고 평가했다.

    송 연구원은 "단기적으로나마 매물이 나온다면 주택 가격 안정화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며, 가격이 잡히지 않는다 하더라도 이는 또 다른 규제의 예고"라고 말했다.

    이광수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이번 대책은 문재인 정부 들어 가장 강력하고 구체적인 부동산 규제책"이라고 평가하면서 "효과를 거두지 못한다면 더 강력한 대책이 나올 수 있어 섣부른 전망보다 시장 변동 리스크에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대책이 집값을 잡는 대신 건설주만 잡는다는 직접적인 비판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는 부동산 규제 중 가장 강한 규제로 꼽히는 분양가 상한제 카드를 꺼낸데 이어 규제를 더욱 강화하는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까지 발표하면서 집값을 잡으려 하고 있지만 부동산 안정 효과는 아직 효과를 보지 못하고, 대신 건설사들의 건설사들의 실적 우려만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결국 투자 측면에서 주택사업 외 다른 사업 비중이 높은 업체가 주목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장문준 KB증권 연구원은 "정책 변화없이 주택부문에서 당분간 업종 모멘텀을 찾기는 어려운 상황이라 낙폭과대에 따른 밸류에이션 매력만으로 투자 종목을 고르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해외사업을 펼치는 건설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김선미 KTB투자증권 연구원도 대형 건설사보다는 지방 주택분양사업이 많은 대우건설이나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을 영위하는 업체에 주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