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 고려대 미세먼지연구소장, 정책근거 마련에 역량 집중 의대·이과대학·정경대학·국제학부 공동연구 체계 형성 취약군 대응훈련 등 시급, 저감기술 발굴에도 심혈
  • ▲ 유영 고대 미세먼지연구소장. ⓒ고대안암병원
    ▲ 유영 고대 미세먼지연구소장. ⓒ고대안암병원
    몇 해 전부터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는 대한민국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은밀한 살인자 또는 잿빛 재앙으로 불리며 우리 삶 속에 침투해 있다. 다양한 정책이 만들어지고 있지만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답은 나오지 않았다. 지금은 분절된 연구를 통합하는 과정을 거쳐 본질적 의문을 풀어야 할 시기다. 

    최근 본지는 유영 고려대학교 미세먼지연구소장(고대 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을 만나 미세먼지와 관련한 구체적인 얘기를 나눴다. 

    먼저 미세먼지는 대기 중 떠다니는 입자상 물질(PM, Particulate Matter)로 PM10 이하를 미세먼지라고 한다. PM2.5 이하는 초미세먼지, PM1 이하는 극초미세먼지로 분류된다. 

    유영 소장은 “미세먼지는 국가적으로 의료부담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 호흡기질환이나 심뇌혈관 질환자, 어린이, 노인 등은 취약군에 속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시급한 문제는 바로 이 취약군을 대상으로 적절한 미세먼지 대응훈련이나 교육을 다각적으로 실시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미세먼지연구소 분석 결과, 미세먼지 농도가 올라가면 허혈성심질환(협심증, 심근경색 등) 발생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노출시간이 1시간 정도로 길지 않아도 위험성은 존재했다. 

    특히 PM2.5의 장기간 노출은 허혈성심질환에 의한 사망률 증가뿐 아니라 부정맥, 심부전, 심장마비에 의한 사망과 연관이 깊었다. 

    기본적으로 취약군은 미세먼지 예보등급이 ‘나쁨’ 또는 ‘매우 나쁨’ 상태뿐 아니라 ‘보통’에서도 실외활동을 줄이고 마스크 착용 등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유영 소장은 “미세먼지와 관련한 불안감과 정확한 정보 사이의 갭이 존재한다. 여전히 근본 원인에 대한 혼란도 가중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의대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 심도있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 “다학제 연구로 미세먼지 정책 근거 생산”

    이처럼 미세먼지 관련 문제가 지속적으로 불거지고 있지만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 이어지자 유영 소장은 지난해 9월 고대 미세먼지연구소를 설립했다. 

    그는 환경부 산하 고대안암병원 천식환경보건센터를 운영하고 있었고 이 경험을 살려 의대를 넘어 미세먼지를 주제로 융합적 연구가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했다. 고대 미세먼지연구소는 의대, 이과대학, 정경대학, 국제학부 교수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다.

    유영 소장은 “연구소는 미세먼지 발생의 원인부터 측정 및 분석을 실시한다. 이를 토대로 진단지침, 건강영향평가, 대응방안 및 저감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미세먼지와 관련한 다학제적 연구의 집중이 필요한 시기다. 그래서 정경대학과 국제학부도 참여해 전반적 상황을 진단해보기로 했다. 역학, 질병기전연구, 대응기술 개발을 통해 얻어진 성과는 국가 미세먼지 대응정책의 근거로 작용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하지만 어려움도 존재한다. 고대 미세먼지연구소는 국가 지원금 등이 없는 상태로 교수들의 사비를 털어 운영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유영 소장은 “연 3억원 규모의 환경부 지원을 받는 천식환경보건센터와 달리 미세먼지연구소는 지원금이 존재하지 않는다. 연구소의 설립 방향성은 명확하지만 아직 가야할 길이 멀다. 단계적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큰 그림을 그려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최근에는 대한의사협회로부터 의뢰받아 미세먼지 관련 연구를 진행했고 추후 환경부 또는 복지부 등 정부용역 참여를 준비하고 있다. 미세먼지 관련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포진된 만큼 성과를 내겠다는 각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