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 4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발표전국 집값 상승폭 0.71%..2개월째 상승폭 축소오세훈 서울시장 당선 이후 서울 재건축 위주로 상승폭 커져
  • 지난달 서울과 수도권, 세종 등 전국 모든 지역에서 집값상승률이 전월보다 주춤했지만 지난 4·7재보궐선거에서 승리한 오세훈 서울시장이 주도한 재건축발 규제완화 신호가 호재로 인식하면서 서울 강남을 비롯해 상승세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4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전국 월간 주택 종합(아파트·단독·연립주택 포함) 매매가격은 0.71%로 전월(0.74%) 보다 상승폭이 소폭 축소됐다.

    지난달 0.96%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던 수도권 집값도 0.91%로 상승폭이 줄었다. 서울(0.38%→0.35%), 지방(0.53%→0.52%), 5대광역시(0.77%→0.65%), 세종(0.68%→0.46%)도 마찬가지였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수도권은 세부담 강화와 2·4공급대책 영향 등으로 일부 관망세 보이며 상승폭은 소폭 축소됐다"며 "다만 서울은 규제완화 기대감 있는 강남권 재건축 위주, 경기·인천은 교통개선 기대감 있는 서울 인접지역이나 중저가  위주로 오르며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서울에서도 재건축 단지가 몰려있는 강남구(0.50%)는 압구정동 위주로, 송파구(0.44%)는 잠실·가락동 위주로, 서초구(0.42%)는 서초·방배동 위주로 평균을 웃도는 상승률을 기록했다. 강남권 재건축 중심으로 매수세가 증가하며 상승폭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실제 지난 4·7선거에서 오세훈 시장이 당선되면서 주춤하던 아파트값이 다시 상승하기 시작했다. 이를 의식한 듯 오 시장은 지난달 27일 일부 지역에 대해 토지거래허가제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 집값은 외곽지역이 상승세를 주도하는 가운데 노원, 구로, 금천을 비롯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강남, 양천, 영등포 등도 상승폭이 커졌다. 

    업계의 한 전문가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지정했지만 안전진단 완화 요청으로 재건축 관련 정책이 엇박자를 빚으면서 집값이 더 오를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당장 거래를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악재로 보이지만 재건축 이슈로 가격은 언제든지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방에서는 대전(1.03%)이 교통호재가 있거나 거주여건 양호한 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올랐고 대구(0.82%), 충남(0.63%) 등도 평균을 웃도는 상승률을 보였다.

    전세가격 상승률도 0.36%로 전월(0.46%) 대비 낮아졌다. 수도권(0.51%→0.37%), 서울(0.29%→0.20%), 지방(0.41%→0.35%), 세종(0.66%→0.20%)에서 모두 상승폭이 축소됐다.

    특시 서울(0.20%)은 정주여건 양호한 중저가 단지 위주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급등 피로감과 계절적 비수기 등으로 상승폭이 축소되고 있다고 부동산원은 설명하고 있다.

    월세가격 상승률도 0.12%로 전월(0.14%)보다 낮아졌다. 수도권(0.15%→0.10%), 서울(0.08%→0.06%), 세종(0.35%→0.11%)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상승폭이 줄었다. 지방은 지난주와 같은 0.14% 상승을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