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규제에도 알리바바 매출 100조 육박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등 최대 실적 기록이랜드 1000억 돌파… 락앤락 103억 기록
  • ⓒLG생활건강
    ▲ ⓒLG생활건강
    중국 정부의 대형 쇼핑 플랫폼 기업에 대한 규제 여파에도 광군제(光棍節, 11월11일)가 사상 최대 거래액을 기록하면서 참여한 한국기업도 함박웃음을 지었다. 화장품과 패션업계는 큰 실적을 내면서 역대 흥행 기록을 갈아치웠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알리바바는 지난 11월 1일부터 11일까지의 광군제 기간에 총 5403억 위안(약 99조9000억원)의 거래액(매출)을 올렸다. 지난해 4982억위안(약 92조원)보다 소폭 늘었다. 

    국내에 광군제로는 중국 최대 온라인 쇼핑몰 업체 알리바바가 2009년 11월 처음 시작됐으며 중국의 대표적인 쇼핑 행사로 자리 잡았다.

    중국 정부의 규제로 올해 행사는 예년만 못한 실적을 거둘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업체들도 마케팅을 축소하고 미디어 행사를 취소하는 등 소극적으로 대응했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소비자들이 적극적인 온라인 쇼핑에 나선 영향을 받은 것으로 관측된다.

    화장품업계는 호실적을 기록하면서 중국 내 입지를 다시 한번 입증했다. LG생활건강은 광군제 행사에서 럭셔리 화장품 후, 숨, 오휘, CNP, 빌리프 브랜드가 전년 2600억원 대비 42% 성장한 약 3700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대표 브랜드 후의 알리바바와 틱톡(더우인) 채널 총 매출은 3294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61% 성장했다. 알리바바에서 후 브랜드는 에스티로더, 랑콤에 이어 럭셔리 브랜드 3위에 등극했다. 후 천기단 화현세트는 88만 세트가 팔려 알리바바 전체 카테고리 단일제품 중 애플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 ⓒ아모레퍼시픽
    ▲ ⓒ아모레퍼시픽
    아모레퍼시픽은 올해 광군제에서 티몰, 징동닷컴 및 중국 밀레니얼 세대를 핵심 타깃으로 하는 신규 동영상 플랫폼인 도우인, 콰이쇼우를 중심으로 고성장했다. 설화수 제품군의 자음생 라인은 전년 대비 83%, 자음생 에센스 325%는 매출이 뛰었다.

    라네즈 역시 전년대비 38% 매출이 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네오쿠션, 퍼펙트 리뉴 레티놀이 각각 11만개, 3만7000개가 판매됐다. 이니스프리의 핵심 상품 그린티 씨드세럼도 30% 성장했다.

    닥터자르트도 2억7500만 위안(약 50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광군제 1일차에 매출 1억 위안을 달성, 행사 기간 동안 티몰 한국 스킨케어 브랜드 순위 3위를 차지했다. 또 APAC 마스크 앰버서더 잭슨과 협업한 더마스크 바이탈 하이드라솔루션은 티몰 판매량 톱 10에 올랐다.
  • ⓒ락앤락
    ▲ ⓒ락앤락
    패션업계도 호실적을 기록했다. 이랜드는 광군제 하루 동안 온라인 쇼핑몰에서 5억6300위안(한화 약 1042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역대 최대 수준으로, 800억원의 매출을 올린 지난해 보다도 30.3% 증가했다.

    올해 광군제에서 가장 인기였던 브랜드는 여성복 이랜드와 아동복 포인포다. 이랜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매출 1억 위안(한화 약 184억원) 클럽에 들었고 포인포는 올해 처음으로 매출이 1억 위안을 돌파했다.

    생활용품업체 락앤락도 광군제에서 매출 6044만 위안(한화 약 103억원)으로 전년 대비 위안화 기준 22.7% 성장했다. 지난달 20~31일 진행된 사전 예약 판매도 호응을 얻었다. 올 하반기 중국 시장 주력 제품인 실루엣 텀블러는 지난달 20일 라이브 방송 1분 만에 약 12만개 판매고를 달성했다. 지난해 사전 예판 당시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다.

    더불어 지난 1~11일 본행사에서 티몰 매출은 전년 대비 24.5% 상승했다. 특히 기함점(23%)뿐 아니라 도매상(26.1%) 역시 성장했다. 징동닷컴 역시 13.7%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김용성 락앤락 중국총괄 전무는 "이번 광군제에서는 중국 소비 트렌드를 이끄는 젊은 세대를 공략해, 특히 중국 시장 주력 제품인 실루엣 텀블러와 댄디 텀블러를 중심으로 베버리지웨어의 매출 상승이 돋보였다"며 "향후에도 베버리지웨어뿐 아니라, 식품보관용기와 쿡웨어, 소형가전 등 4대 주력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역량을 집중해 중국 내 시장 우위를 점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