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저축은행들의 예대금리차가 시중은행들보다 4배 가량 높으며, 이로 인한 수익이 최근 3년간 13조6950억원에 이른다는 지적이 나왔다.
1일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의원이 금융감독원에 요청한 '국내 저축은행 예대금리차 및 수익 내역'에 따르면, 2018년~2020년까지 저축은행 예대금리차는 평균 7.8%로 이는 동일 기간 국내 시중은행(제1금융권) 1.9%의 약 4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의 예대금리차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 7.9%p, 2019년 7.9%p, 2020년 7.8%p로 소폭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시중은행에 비해 높다.
지난 3년간 국내 저축은행별 평균 예대금리차를 살펴보면, 웰컴저축은행이 16.1%p로 가장 금리차가 컸다. 이어 OK저축은행 13.8%p, 스마트저축은행 12.5%p, 머스트삼일저축은행 12.1%p, 유진과 상상플러스인저축은행이 각 11.2%p 등이다. 예대금리차가 가장 작은 저축은행은 민국저축은행(3.6%p)이었다.
강민국 의원은 “예대금리차로 지난 3년간 국내 저축은행이 벌어들인 수익이 13조6950억원에 달한다”며 “올들어 7월까지 벌어들인 수익만도 3조3809억원이다”라고 말했다.
3년간 국내 저축은행 중 예대금리차 수익이 가장 많은 저축은행은 OK저축은행으로 2조1459억원의 예대금리차 수익을 올렸다. 이어 SBI저축은행 1조8880억원, 웰컴저축은행 9883억원, 페퍼저축은행 6027억원, 유진저축은행 6497억원 순이다.
국내 저축은행의 예대금리차 수익이 증가하고 있는 사유에 대해 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의 이자 이익은 가계대출 중심의 대출자산 확대 등으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강 의원은 “2020년말 국내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가계 대출 규모만도 1조6915억원에 달하는 등 국민은 힘들어하는데, 저축은행의 예대금리차 평균은 시중 은행의 4배에다 13조7000억원이라는 수익을 올리고 있다”며 “저축은행들이 시중은행 문을 못 넘는 중․저신용자 등 어려운 서민들을 대상으로 금리장사를 하고 있다고 밖에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들의 과도한 예대금리차에 대해 조사해 '대출금리 산정체계 모범규준' 미준수 등 금리 인상 근거에 문제가 있을 시에는 엄중히 처벌해야 할 것”이라며 “저축은행의 금리운용 실태를 정기적으로 공개해 금리 인하경쟁을 촉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