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3일 화물연대 파업으로 시멘트 출하가 중단되면서 레미콘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뉴시스
23일 업계에 따르면 레미콘운송노동조합과 레미콘업계의 운송료 인상률 간극이 커서 내달 운송노조의 파업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수도권 차주 중 90% 가까이 속해있는 레미콘운송노동조합은 레미콘사에 기존 5만6000원인 운송료를 7만1000원인 27%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이외에도 ▲요소수 100% 지급, ▲명절상여금 100만원 지급, ▲근로시간 면제수당 100만원 지급 등이 요구사항이다.
레미콘 제조업계는 운송료 인상 요구 폭이 과도하다는 지적이다. 노조 요구 수용시 인상률 30% 넘을 것으로 전망한다. 레미콘업계는 물가상승률을 감안해 올해 운송료 인상폭을 5% 가량으로 추정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대부분의 레미콘 운반사업자들은 지입계약을 맺은 개인사업자로 단체협상 대상이 아니다"라며 "유류비를 전액 지원받는 운반사업자들의 27% 인상요구는 어불성설이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최근 유연탄 등 원자재와 유가가 큰 폭으로 인상됐고, 최근 화물연대의 파업으로 9일 간 시멘트 공급이 안되며 공장 문을 닫는 상황이 발생하며 경영부담이 누적된 상황"이라고 하소연했다.
이어 "이런 어려운 환경에서 운송노조 마저 27% 초유의 인상률을 요구해 답답한 상황"이라며 "내달 운송 중단 전에 대화로 잘 끝날 수 있길 바랄 뿐"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레미콘업계는 권역별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운송 노조는 자신들의 요구안이 관철되지 않으면 내달 1일부터 파업에 돌입하겠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