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층 선제 지원 바람직원금 탕감, 영끌·빚투 지원 등 논란 넘어야"지원대상과 심사기준 치밀하게"
-
정부가 내놓은 저소득 청년층과 자영업자 채무 조정 방안을 두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국가 경제안정을 위해 짊어져야 할 불가피한 정책이라는 의견과 일부 원금 탕감과 이자유예 등이 도덕적 해이를 부를 수 있다는 우려가 충돌하는 모양새다.정부가 추진중인 '금융부문 민생안정 과제'의 핵심은 30조 규모의 새출발기금이다.10월 설립 예정으로 당장 빚을 갚기 힘든 자영업자들이 장기간에 걸쳐 대출을 나눠 갚도록 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자산관리공사가 각 금융사로부터 채권을 사들여 최장 20년에 걸쳐 장기상환을 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연체 90일 이상 부실차주에 대해서는 60~90% 수준의 원금도 감면해준다.또 8조7000억원을 들여 연리 7%가 넘는 고금리 사업자 대출을 저금리로 전환해준다.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을 고정으로 바꿔주는 안심전환대출도 20조에서 25조로 확대된다.투자에 실패한 청년·서민층이 장기간 사회적 낙인이 되지 않도록 '청년특례 채무조정 제도'를 신설해 1년간 운영하나. 대상으로 선정되면 최대 50%의 이자 감면과 최대 3년간 원금 상환 유예 혜택을 받는다.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현재 자영업자 대출 잔액은 960조7000억원으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말보다 40.3% 급증했다.이중 취약차주 규모는 31만6000명으로 전 분기 대비 3만명 이상 증가했다. 코로나 여파로 납부가 유예된 대출규모만도 170조에 달한다.금리가 빠르게 오르면서 전체 가계대출의 5%인 93조는 상환능력 악화가 우려되는 부실위험 대출로 추정되고 있다. 저신용자의 금융 접근성이 악화될 경우 생계곤란과 불법 사금융 노출 등 사회문제도 우려되는 즈음이다.정부가 선별지원 등 특단의 대책을 빼들 수 밖에 없다는 것은 큰 이견은 없다.다만 원금 탕감과 함께 영끌과 빚투족에 대한 지원이 포함되면서 비판론이 잦아들지 않고 있다.성실하게 원리금을 갚아온 소상공인과 청년층, 대부분의 금융소비자들이 상대적인 박탈감을 겪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당장 10조원 가량 기금을 내놓아야 할 은행들도 불편한 기색이다.은행 관계자는 "민생지원 재원을 금융사 출연금으로 충당할 경우 외국인 주주들의 반발을 살 수밖에 없다"면서 "더욱이 취약계층과 소상공인 등에 대한 지원이 일회성으로 그칠 것 같지 않아 걱정이 많다"고 우려했다.물론 은행권의 고통분담이 사회적 역할 차원에서 합당하다는 의견도 적지않다.정부의 허가를 받아 합법적인 이자장사를 하고 있고 위기에 빠질 경우 공적자금 등 정부 차원의 지원이 이뤄지는 만큼 그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논리다. 게다가 채무자가 상환능력이 잃으면 결국 금융사들의 부실비율이 올라가 더 큰 부담을 안게되는 것도 감안해야 한다는 지적이다.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최근 “9월 말 (소상공인 금융지원)만기연장과 관련해 어차피 금융사들은 본인 차주들을 처리해야 하는 상황인데 오히려 정부가 부실을 넘기고 처리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 준 것“이라며 ”기존의 채무조정제도를 보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전문가들은 도덕적 해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통해 취약층 재기마련의 정책적 취지를 살려야 한다고 조언한다.금융권 관계자는 ”파산과 신용불량자, 실업자로 대거 전락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선제적인 정책이라는 정부의 주장이 신뢰를 얻으려면 시행 단계에서 지원대상과 심사 기준을 치밀하게 설계하고 운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