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4% 성장대출금리 인하 전략 유효
-
- ▲ ⓒ케이뱅크
케이뱅크가 지난 3분기 256억원의 당기순이익(잠정)을 기록하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2.4% 늘어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공격적인 대출 금리 인하 정책과 포트폴리오 다각화의 영향으로 보인다.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당기순이익은 71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84억원에 비해 8배 이상 성장했다.케이뱅크를 이용하는 고객 수는 직전 분기보다 18만명 증가한 801만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여신 잔액은 9조 7800억원, 수신 잔액은 13조 4900억원으로 각각 1조 500억원·1조 3100억원 증가했다.선제적인 금리 인하 조치가 여신 성장으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케이뱅크의 아파트담보대출 고정금리는 올해만 세 차례 인하했다. 전세대출 역시 같은 기간 네 차례 금리를 낮췄다.신용대출 금리도 수차례 내렸다. 그 결과 지난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7월 신규 기준 신용대출 신용등급별 금리 전 구간에서 케이뱅크의 금리는 인터넷전문은행 중에서 가장 낮았다.지난 9월 사장님 신용대출을 출시하면서 대출 상품도 다양화했다. 10월에는 아파트담보대출 구입자금을 선보이기도 했다.수신은 기준금리 인상기에 발맞춰 선제적 수신 금리 인상, 단기 예금 기획 상품 출시 등 한발 빠른 시장 대응에 나선 것이 성장으로 이어졌다.케이뱅크는 지난 7월 초 '주거래우대자유적금'을 최대 연 0.6%p 인상한 데 이어, 8월 말 '코드K자유적금' 금리를 최대 연 0.8%p 올리며 큰 인기를 끌었다.8월 말에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 앞서 ‘코드K정기예금’ 금리를 최대 0.7%포인트 인상하기도 했다. 파킹통장인 '플러스박스' 역시 총 네차례 금리 인상을 단행해 업계 최고인 연 2.7%까지 높였다.비용효율성도 개선됐다. 금융사의 영업이익 대비 판매관리비를 나타내는 영업이익경비율(CIR)은 3분기 말 37.9%로 전 분기(39%)보다 내렸다.3분기 말 기준 순이자마진(NIM)은 2.44%, 연체율은 0.67%다. 국제결제은행(BIS) 총자본비율은 14.51%다.서호성 케이뱅크 은행장은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 시장 침체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고객 혜택 확대에 힘쓴 것이 최대 실적으로 이어졌다"며 "차별화된 디지털 금융 상품을 지속 발굴해 최근 급변하는 금융 상황을 케이뱅크가 도약하는 반전의 기회로 삼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