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보사들 주력상품에 잇따라 도입시장 포화속 셀링포인트로리스크 커지지만 자구책 일환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보험사들이 최근 면책기간이나 감액기간을 없앤 상품을 속속 내놓으면서 공격적 영업에 나서고 있다. 시장이 포화하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소비자의 선택을 받기 위한 자구책으로 풀이된다. 보험사들에게는 손해율 상승요인이 될 수 있지만 소비자에게는 유리한 혜택이다.

    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KB손해보험은 최근 'KB금쪽같은 자녀보험'을 개정 출시하면서 일반암 보장 중 12가지 담보, 4가지 유사암 보장에 대해 감액기간을 적용하지 않는다.

    자녀보험에서 뇌·심혈관질환 관련 진단 및 수술비 담보 7종에 대해서도 감액기간을 없앴다. 여기에 8개 수술비도 감액기간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

    감액기간이란 소비자가 보험을 가입하고 정해진 기간동안 약정한 보험금의 50% 수준을 지급하는 기간을 말한다. 통상 1~2년 정도의 감액기간을 두는데 보험 가입자들의 역선택(보험금을 받기 위해 보험 가입)을 막기 위해서다.

    마찬가지로 가입 직후 90일까지 사고가 발생해도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면책기간'이 있는데 자녀보험은 대개 면책기간이 없다.

    2018년부터 암 보험에 대한 감액기간을 폐지한 메리츠화재는 마케팅시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최근엔 간편심사 보험상품인 SI보험의 암 수술비도 감액 없이 바로 100% 보장한다.

    한화손해보험도 한아름종합보험에서 4대 유사암을 제외한 암 진단비에 감액기간을 두지 않고 있다. 삼성화재, DB손해보험 등 대형 손해보험사 대부분 감액기간을 없앤 암보험을 판매하고 있다.

    시장 포화 속에 보험사들이 일종의 보호장치인 감액기간을 없애 '셀링포인트(판매 강조점)'로 내세우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추세는 건강을 우려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영업력을 갖추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감액기간을 없애면 빠른 보험금 청구가 이뤄질 수 있는 만큼 소비자들도 동일한 조건이면 감액기간이 없는 상품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보험설계사들이 감액기간 유무를 따져보라고 조언하는 것도 이같은 이유다.

    업계 한 관계자는 "대체로 면책기간 90일은 유지하기 때문에 손해율에는 거의 영향이 없다"면서 "감액기간을 없앤 상품이 판매가 더 잘된다"고 말했다.

    다만 보험사들이 경쟁적으로 감액기간을 없앤 상품을 출시하면서 손해율 상승에 따라 보험료가 오를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건강 이상이 발견되기 직전 상품에 가입하고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어서다.

    이에 대해 한 손보사 관계자는 "감액기간은 보험사의 손해율을 낮추기 위해 만든 것인데 보험사들이 이를 스스로 포기한다면 그만큼 자신이 있다는 뜻"이라면서 "암보험이나 어린이보험 같은 경우 누적 데이터가 있어서 리스크 관리가 가능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