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새 카드사 4.3배, 보험사 2배 뛰어여전사 연체율 8% 껑충, 부실 경고등
  • ⓒ연합뉴스
    ▲ ⓒ연합뉴스
    2금융권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익스포저(대출·보증 등 위험노출액)가 사상 최대 수준에 이르며 우리나라 금융경제의 잠재 부실징후가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다. 

    그나마 건전성 지표가 괜찮은 은행권이 위험 사전 관리차원에서 부동산PF 시장 유동성 지원에 나서며 금융사 부실 예방에 뛰어들었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현재 보험·증권·여신전문금융사(카드사·캐피탈사)·저축은행·상호금융 등 비은행권(2금융권) 금융사의 부동산PF 익스포저 규모는 115조5000억원(대출 91조2000억원+채무보증 24조3000억원)에 이른다.

    2017년 말 익스포저 수준을 100으로 가정했을 때, 현재 업권별 익스포저를 지수로 환산하면 ▲ 여신전문금융사 432.6 ▲ 저축은행 249.8 ▲ 보험사 204.8 ▲ 증권사 167.0으로 집계됐다.

    5년 전보다 익스포저가 각 4.33배, 2.50배. 2.05배, 1.67배로 급증했다는 뜻이다.

    한은 관계자는 "4배 이상 늘어난 여전사뿐 아니라 거의 모든 2금융권의 익스포저가 현재 사상 최대 수준이라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위험노출 규모뿐만 아니라 연체율 상승세도 심상치 않다. 

    앞서 2011년 PF 관련 부실이 터져 무더기 영업정지를 맞은 저축은행의 경우, 현재 연체율(2.4%)은 2018년 12월(5.5%) 이후 약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는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직전 2010년 12월 말께 저축은행의 전체 여신 가운데 부동산PF 대출 비중은 19%에 이르렀지만, 작년 9월 현재는 9.1%(전체 여신 116조원 중 10조6000억원) 수준"이라며 "더구나 저축은행은 다른 업권과 달리 PF 사업자금의 20% 이상을 자기자본으로 조달할 수 있는 차주에 대해서만 PF대출을 취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따라서 현재 저축은행업계의 PF대출 규모는 아직 관리 가능하다고 판단되지만, 미래 리스크(위험)에 대비해 PF 대출 관련 건전성 관리와 손실흡수 능력 제고에 각별히 유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업계는 "아직 감당 가능하다"는 입장지만, 2금융권 부동산PF 관련 부실에 대한 한은과 금융당국 등의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한은은 최근 금융안정보고서에서 "PF대출과 대출유동화증권이 부실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비은행권의 부동산PF 리스크 관리에 한층 더 유의해야 한다"며 "민간 중심의 원활한 구조조정 여건을 마련해 부실 우려 PF사업장의 정리 지연에 따른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은행권의 부동산PF 대출도 2020년 이후 부동산 시장 활황과 저금리 환경 속에서 크게 불어난 상태다.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작년 말 기준 부동산PF 대출 잔액은 14조6645억원에 이른다. 2020년 말(9조2532억원)과 비교하면 2년 사이 58.5%나 늘었다.

    다만 은행권은 연체율이 0%에 가깝고, 대부분 선순위 보증을 바탕으로 대출이 이뤄졌기 때문에 당장 부실 위험이 크다고 보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은행권은 만일의 부동산PF발 금융 위기를 막기 위해 선제적 관리 프로그램 가동에 들어갔다.

    KB금융지주는 지난 13일 약 5000억원 규모의 부채담보부증권(CDO) 발행을 통한 부동산PF 시장 유동성 지원 방안을 내놨다. 

    CDO는 금융사 대출채권 등을 기초자산으로 삼아 현금 흐름을 창출하는(유동화) 파생상품으로, 이번 CDO 발행에는 KB국민은행, KB증권, KB손해보험, KB캐피탈, KB저축은행 등이 투자자로 참여한다.

    신한은행도 원자재·인건비 상승으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재건축 사업장 등에 유동성을 지원하기로 했다. 

    하나은행은 부동산PF 관련 정부 유동성 지원프로그램을 활용해 시장에 유동성을 계속 공급할 계획이며, NH농협은행 역시 부동산 PF에 유동성을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