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가스요금 인상… 0.1%p 영향서비스 물가 자극 경계수입물가도 석달째 상승
  • 고심을 거듭하던 정부가 전기와 가스요금 최소화 인상을 택했지만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당장 반영은 안되지만 지속적 인상의 경우 둔화세를 보이던 물가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달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둔 한국은행으로서는 변동성 여부를 주시할 수밖에 없다.

    17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이달 25일로 예정된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현 3.5% 수준으로 동결할 가능성이 높다. 

    한은의 금리인상 주된 요인이었던 물가 상승세가 한풀 꺽인 데다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 역시 주춤하고 있기 때문이다.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7%로 14개월 만에 3%대로 내려 앉았다. 지난해 7월 6.3%로 최고 수준을 기록한 뒤 8월에는 5.7%, 9월에는 5.6% 등 차츰 하락세를 그리고 있다. 

    또 국내 경기 여건도 한은의 기준금리를 동결로 기울게 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를 웃도는 상황서 반도체 수출 불황이 지속되며 무역수지 적자는 27억달러까지 치솟은 상황이다. 

    하지만 '공공요금 인상'이라는 변수가 등장함에 따라 물가 둔화세가 더뎌질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정부는 16일부터 전기요금은 ㎾h당 8원, 가스요금이 MJ당 1.04원 인상해 4인 가구 기준으로 전기·가스요금을 월 7000원 추가 부담해야 한다. 전기·가스 활용도가 높은 산업의 경우 서비스 물가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만성 적자 구조에 접어든 한전의 상황을 고려하면 추가 인상 가능성도 적지 않다.

    이민재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인상으로 한전과 가스공사는 회사채 조달 등 단기 이슈들이 해소되겠지만 재무구조 해결을 위한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근 수입물가 상승세가 지속되는 점도 향후 물가 전망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지난달 수입물가지수는 전월보다 0.7% 상승했는데 석달 연속 오름세로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과 국제유가 인상 압력에 따른 결과다. 수입물가는 약 두달 간의 시차를 두고 국내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내달부터 소비자물가가 다시 상승곡선을 탈 수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공공요금 인상 효과가 당장 물가에 반영되는 내용은 아니기 때문에 한은이 이달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높지만 물가 변동성은 계속 주목해야할 것"이라며 "설탕 밀가루 등 식재료 등의 생산자물가도 상승세라 물가를 자극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