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토류 영구자석 공급망 현황’ 보고서
-
희토류 영구자석 수요가 크게 늘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중국의 대외의존도가 90%에 달해 내재화가 시급하단 지적이 나왔다. 공급망 내재화, 조달처 다변화 등 국가적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10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희토류 영구자석의 공급망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한국의 영구자석 수입액은 전년 대비 67.3% 증가한 6억4000만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이 가운데 중국에서 수입한 비중은 87.9%에 달했다.보고서에 따르면 희토류 영구자석 중에서도 네오디뮴 영구자석은 현재까지 개발된 영구자석 중 가장 강한 자력을 지니고 있어 전자제품의 효율성 제고와 소형화, 경량화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특히 전기차 구동모터, 풍력발전 터빈 등 친환경 산업의 핵심 부품으로 활용돼 향후 수요가 2020년 12만톤에서 2050년에는 75만톤으로 6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다만 네오디뮴 영구자석은 높은 온도에서 자력을 상실하는 특성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디스프로슘, 터븀 등 중희토류를 첨가하는 공정이 필수적이다.중희토류는 거의 전량 중국에서만 생산되고 있으며, 경희토류인 네오디뮴 대비 가격이 디스프로슘은 약 4배, 터븀은 약 20배에 달한다.디스프로슘과 터븀이 영구자석에서 차지하는 중량은 10% 이내에 불과하나 전체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0~70%에 달하는 셈이다.한국은 현재 영구자석의 대부분을 중간재 형태로 수입해 절단·가공·표면처리 등 후공정을 시행하고 있다.최근 중국이 희토류 및 영구자석에 대한 생산 및 수출 통제를 강화하고 있어 공급망 차질에 대한 우려 고조되고 있다. 중국은 세계 희토류 원소의 58%, 네오디뮴 영구자석의 92%를 생산하고 있다.중국은 2010년대 이후 희토류 생산량 통제 및 관련 기업 국유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지난 2022년에는 ‘수출 금지·제한 기술목록’ 개정안에 희토류 영구자석 제조 기술을 추가하는 등 전략 무기화 움직임 강화하고 있다.이에 주요국들은 항공, 방산 등 안보와 관련된 영역을 중심으로 영구자석의 공급망을 자국 내에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 중이다.일례로 희토류 불모지인 일본은 지난 2001~2021년 기준 세계 영구자석 특허 출원 건수의 60.5%를 차지했다.일본은 최근 자국 내 해저 희토류 채굴을 위한 기술 개발과 호주 희토류 기업인 라이나스와 중희토류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조달처 다변화에 노력하고 있다.일본은 중국 의존도를 2016년 42.3%에서 지난해 31.1%로 10% 이상 낮춰 미국(76.8%), 유럽연합(90.0%)과 비교해 안정적인 공급망 관리를 이어 나가고 있다.한국의 경우 최근 들어 영구자석 생산 전 공정 내재화를 위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늘어나는 수요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이에 국내외 희토류 영구자석 수요의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국내 생산규모 확대와 더불어 영구자석 공급망 단계별 기업 육성, 전문인력 양성 등 생태계 구축 노력이 시급하다는 게 보고서의 지적이다.박가현 한국무역협회 연구위원은 “희토류 영구자석의 안정적 공급은 전기차 등 친환경 산업의 경쟁력 확보에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방위산업 등 국가 안보와도 직결되는 문제”라고 밝혔다.이어 “희토류와 관련된 기술우위 확보, 대체·저감기술 개발, 재활용 활성화 등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연구개발 및 시설투자에 대한 세제지원을 강화하고, 해외 광물자원 확보에도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