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펀드와 별도… 민간 유동성 공급은행권 PF 연체율 0.23%… 상승세 촉각"만기 연장만으로 안돼… 사업성 개선 필요"
  • ▲ 서울 지역 한 아파트 건설 현장ⓒ뉴데일리DB
    ▲ 서울 지역 한 아파트 건설 현장ⓒ뉴데일리DB
    5대 금융그룹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조성을 검토 중이다. 지난 4월 대주단에 참여한 이후 상당한 자금을 투입한 만큼 펀드로 유동성을 끌어올려 사업성을 재편하겠다는 구상이다.

    금융위원회가 12일 관계부처와 기관을 불러 마련한 부동산PF 사업정상화 추진 점검회의에는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주요 금융지주 관계자들도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정부당국이 조성하는 1조원 규모의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펀드 외에도 민간 금융회사의 펀드 조성도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민간 펀드 필요성은 금융지주 내부에서도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권 부동산PF 대출 연체율은 1분기 말 0%였는데 대주단을 참여한 이후인 6월 말에는 0.23%로 껑충 뛰올랐다. 2분기 동안 부동산PF 대출잔액이 1조4000억원 가량 늘어나면서다. 은행권 부동산PF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에도 0.01% 수준을 유지해왔다.

    실제로 우리금융은 지난 5월 5000억원 규모로 블라인드 부동산PF론펀드를 출시해 자금을 끌어모으기도 했다. 이를 통해 정비사업 신규자금으로 3000억원, LH매입을 약정한 임대주택 사업장 자금지원 2000억원을 공급했다. 당시 공급된 유동성으로 난항을 겪던 사업장들이 기사회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사업 정상화를 위한 PF 대주단 협약이 적용된 사업장은 187곳에 이른다. 6월 말 91곳에서 2배 이상 확대됐다. 152개 사업장에서 기한이익 부활, 신규자금 지원, 이자유예, 만기연장이 이뤄졌다. 사업성이 부족하거나 시행‧시공사와 대주단 간의 공동 손실분담이 부족한 사업장은 은 공동관리 부결(23개) 및 경‧공매 등을 통한 사업장 정리가 진행됐다.

    금융권 관계자는 "무작정 만기만 연장하면 이자 부담이 커져 사업성이 다시 악화되는 악순환이 일어날 수 있다"며 "구조 개선 가능한 사업장은 유동성을 공급해 정상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