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망 혁신 전담반 회의… 봄철 수급 특별대책 마련봄·가을철 태양광 발전량 높아… 수급 불균형 심화전력수급 대책기간 1주일 확대·운영… 불가피한 경우 출력제어 검토
-
올 봄철 전력수요가 역대 최저 수준까지 떨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정부가 발을 걷어붙였다. 전력수급 대책기간을 지난해 보다 1주일 확대·운영하고 전력계통 안정화 조치를 이행한 후 계통 안정화를 위해 불가피한 경우에는 출력제어를 검토·시행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이호현 에지정책실장 주재로한 전력망 혁신 전담반(TF)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긴 봄철 전력수급 특별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산업부가 올 봄철 전망하고 있는 전력시장 내 최저 전력수요는 37.3GW다. 현재까지 최저 수요는 지난해 4월30일 39.5GW인데 이는 역대 최고 수요인 94.5GW(2022년 12월23일)의 42%에 불과했다. 역대 최저보다도 전력수요가 2GW 넘게 더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전국 단위의 계통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 산업부의 설명이다.
◇ 전력수급 여건 … 태양광 증가로 변동성 증대
전력수급 대책은 전력부족(동·하계) 대응 중심이었으나 최근 재생에너지 급증에 따라 전력과잉(춘·추계) 대응 등이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과거 발전원은 예측가능성이 높은 화력, 원전, 가스발전 등으로 구성하면서 예측가능성이 높고 안정적 발전으로 수요 대응이 가능했다.
하지만 소중립·전원 믹스 변화에 따라 불확실성, 변동성이 높은 재생에너지 비중 증가하고 있다. 산업부에 따르면 태양광 설비는 2013년 1.0GW에서 지난해 28.9GW로 최근 10년간 원전 28기 규모에 해당하는 27.9GW 증가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대폭 증가한 태양광 발전은 기상여건에 따라 발전량이 크게 변동하며, 기존 발전원과 달리 발전량 예측이 어려워 전기공급 불확실성 증가한다"면서 "자가용 태양광은 발전량만큼 전기수요 감소효과가 있으나, 이러한 효과가 기상여건에 좌우되어 전기수요 예측 어려움이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기온에 영향을 받는 태양광은 여름이 아닌 봄철에 이용률 최대로,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수요가 낮은 봄철, 태양광 이용률의 맑은날(89% 수준)과 흐린날(18% 수준) 편차가 약 71%p(20.5GW 규모)로 매우 높아 수급관리 어려움이 상승한다. 맑은 날과 흐린 날의 전력수요 편차가 11.1GW를 기록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해외의 경우 국가간 전력망 연계로 수급 불균형을 완화하고 있으나우리나라는 고립된 전력망으로 타국에 과잉 발전력 전송이 불가하다"면서 "이러한 제약으로 인해, 과잉발전 발생시 모든 발전원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
◇ 봄철 전력계통 안정화 대책 발표 … 불안정 심화 시 출력제어
산업부는 2024년 봄철 전력계통 안정화 대책을 수립하고 안정화 조치로 △주요 발전기 정비 일정 조정 △미세먼지 저감을 고려한 석탄단지 운영 최소화 △공공기관 자가용 태양광 운영 최소화 △수요자원 활용 등이 있다. 자연스레 전력 공급량을 줄이고 수요량을 늘려 전국의 전력수급 불균형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꾀한 것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선제적인 조치를 통해 봄철 출력제어 발생확률을 시간 기준 2.7%에서 1.3%로 줄일 수 있었다"고 내다봤다.
특히 이런 조치에도 불구하고 계통 불안정성이 심화될 경우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불안정 원인을 검토해 출력제어에 들어간다.
출력제어가 상대적으로 쉽고 연료비가 높은 유연성 전원(석탄, LNG)을 먼저 출력제어한다. 출력제어가 필요한 경우, 원전과 연료전지, 바이오, 태양광, 풍력 등 모든 발전원이 출력제어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다만 출력제어에 참여하는 발전자원이 전력시장에서 일정 수준의 보상한다. 예를 들어 출력제어 참여 희망금액 입찰해 가격 순으로 제어하는 식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출력제어는 제주도에서 우선적으로 시행하고, 비슷한 콘셉트의 시범 사업을 가을께 실행할 계획"이라면서 "계통 안정화를 위해 불가피한 출력제어를 실시할 경우 모든 발전사업자들의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