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T, 예일대, 프라운호퍼, 퍼듀 총 6개 기관 선정로봇·AI, 반도체, 모빌리티 등 개발2028년까지 총 100개 차세대 원천기술에 6840억 투입
  • 정부가 해외기관과 손잡고 바이오·로봇 등 첨단산업 분야의 기술협력을 확대키로 했다.

    5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날 안덕근 장관 주재로 글로벌 개방형 혁신 전략간담회를 개최, 글로벌 산업기술 협력센터(이하 협력센터) 우선협상대상 해외기관 6곳을 발표했다.

    협력센터에 세계 9개국 30개 대학, 연구소가 신청했고 서류, 발표평가 등을 거쳐 MIT, 예일대, 프라운호퍼, 퍼듀, 존스홉킨스대, 조지아텍 총 6개 기관이 선정됐다.

    협력센터는 국제공동 R&D 기획과 파트너 매칭, 국내 연구자 현지 지원 등 글로벌 기술협력 플랫폼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해외 주요 대학, 연구소의 경쟁력 분석 등으로 도출한 30여개 기관과 사언협의를 통해 협력 방안 논의와 참여의지를 확인했다”면서 “미국 차관, 유럽 실국장 등을 직접 방문해 현지홍보와 논의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우선협상대상 기관별 중점 분야는 MIT 로봇·AI, 디스플레이, 반이오 예일대는 반도체, 로봇·AI, 퍼듀대는 배터리 모빌리티, 프라운호퍼는 모빌리티, 배터리, 반도체, 프라운포퍼는 바이오(신약개발, 헬스케어 등), 조지아텍은 반도체다.

    기술협력 플랫폼으로 양국 협력 수요를 상시 발굴하고 분석, 최적 파트너 연계와 매칭, 과제 공동기획 수행한다. 해외 기관내 별도 사무소를 설치하고 전담코디네이터를 배치한다.

    협력센터에서 발굴한 우수 협력 수요를 중심으로 기관내 최적 파트너를 연력해 공동 R&D를 수행한다. 이를 매개로 국내 우수 기술인력을 현지에 파견한다. 산업기술 국제협력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통해 협력센터 운영과 과제 발굴, 수행 상황 등을 수시로 점검해 세계 최고 수준의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올해 575억 원 45개 내외 국제공동 R&D 과제를 착수해 차세대 산업원천기술을 도출한다. 2028년까지 총 100개 차세대 원천기술에 6840억 원 투입할 계획이다.

    안덕근 장관은 “우리 기업이 더 큰 성장하기 위해서는 혁신 전략도 과감하게 바꿔나갈 필요가 있다”면서 “6개 협력센터를 거점으로 국제공동 R&D에 필요한 전 과정을 원스톱지원하고 글로벌 M&A, 기술 이전 등 다양한 형태의 글로벌 협업을 촉진하는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 종합 지원전략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