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AI 서비스 이용자 인식조사 결과 발표하반기 이용자 보호 가이드라인 마련 목표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방통위 조사 결과 국민 10명 중 1명 이상이 생성형 AI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AI 등 지능정보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과 태도, 수용성 등을 조사한 ‘2023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설문에는 ▲지능정보기술 서비스 이용 현황 ▲포털·유튜브 등 알고리즘 추천 서비스에 대한 인식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이용자 경험 등에 대한 문항이 포함됐다.

    생성형 인공지능 이용경험 조사 결과, 전체 설문대상의 12.3%가 이용해 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2023년 11월 조사 당시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가 시장에 출시된 지 약 1년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임을 감안하면 인공지능 이용 경험이 단기간에 확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의 이용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텍스트 생성(81.0%) 이용 비율이 압도적이었다. 음성·음악 생성(10.5%), 도메인 이미지 생성(4.8%). 이미지 생성(3.6%) 순으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이용 시간은 약 41분이었다.

    생성형 인공지능 이용 동기로는 ‘정보 검색에 효율적이다’(88.1%)를 선택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대화 나눌 상대가 필요해서’(71.8%), ‘일상적 업무 지원’(70.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생성형 인공지능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높은 지식수준을 요구해 이용하기 어려울 것 같아서’(62.3%), ‘개인정보가 유출될 것 같아서’(57.3%), ‘이용하기 복잡할 것 같아서’(56.0%) 순으로 조사됐다. 복잡한 이용 방법과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생성형 인공지능 이용에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방통위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지능정보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기대와 우려 사항을 면밀히 검토해 향후 이용자 보호 정책에 반영할 예정”이라며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금년 하반기 ‘생성형 AI 이용자 보호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