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현대차와 전국 유휴 부지에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LGU+, 카카오모빌리티와 전기차 충전 합작법인 설립전기차 포비아 확산으로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뚜렷정부 규제 강화 예고… 이통사 사업 영위에 부담
  • ▲ LGU+ 볼트업 ⓒ구글플레이 캡쳐
    ▲ LGU+ 볼트업 ⓒ구글플레이 캡쳐
    최근 연이은 화재 사건으로 '전기차 포비아(공포증)'가 확산되면서 국내 이동통신사들이 노심초사하고 있다. 전기차 수요 감소와 정부의 규제가 이어질 경우 전기차 충전 사업에도 불똥이 튈 수 있다는 점에서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KT와 LG유플러스 등 이통사는 일찌감치 전기차 충전 사업에 뛰어들었다.

    KT는 2022년 현대차그룹과 1조 5000억원 규모의 지분 스왑을 통해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에 동맹 관계를 구축했다. 전국 각지에 있는 KT 유휴 공간과 네트워크를 활용해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에 나선 것. 

    자사의 온디바이스 기반 지능형사물인터넷(AIoT) 기술을 전기차 충전소에 접목시킨 솔루션도 선보였다. 전기차 충전기 서비스 업체 이브이파킹서비스(EVPS)와 업무협약을 맺고, 탄소중립 및 친환경 에너지 설루션 개발에 들어간 상태다.

    LG유플러스도 지난해 CEO 직속 'EV충전사업단'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전기차 충전 서비스 '볼트업(VoltUP)'을 선보이며 전기차 충전 사업에 진출했다. 이후 호반건설 아파트와 손 잡고 '호반써밋'에 볼트업을 구축·운영하고, 충전기 관련 신기술 솔루션 개발에 상호 협력키로 했다. 
     
    앞서 지난 6월에는 카카오모빌리티와 손잡고 전기차 충전 합작법인 'LG유플러스 볼트업'을 공식 출범시켰다. 2027년까지 완속 충전시장에서 '톱3' 사업자 달성을 목표로, 양사는 각각 250억원을 출자해 총 500억원의 자본금을 조성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은 2030년 3250억 달러(약 434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성장 가능성이 유망한 전기차 충전 시장에 이통사들이 앞다퉈 뛰어든 이유다.

    하지만 인천 아파트 지하주차장 벤츠 자동차 폭발 사고를 비롯해 포루투갈 리스본 국제공항 인근 테슬라 화재 사건 등이 연이어 발생하며 상황은 급반전됐다. 전기차 포비아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며 이통사의 전기차 충전 사업에도 먹구름이 꼈다. 

    KT와 LG유플러스는 이 같은 우려에 정부의 안전 기준성을 충족시켰다는 점에서 큰 차질이 없다는 분위기다. 다만, 사회적 여론 악화로 전기차 판매량 위축으로 이어질 경우 해당 사업의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높다.

    실제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에 빠져 들면서 유럽에서 테슬라 판매 실적이 18% 가까이 감소했다. 국내의 경우 올해 1~7월 전기차 판매량은 8만 613대로 지난해 9만 3080대와 비교해 13.4%가 빠졌다.

    정부의 규제 강화도 이통사의 부담으로 작용될 전망이다. 정부는 부처별로 충전율 제한 등을 담은 '전기차 충전소 안전관리 방안'을 이달 안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충전 시설의 촘촘한 규제가 세워질 경우 해당 사업의 축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전기차 화재 사고로 소비자들의 인식이 나날이 부정적으로 심화되고 있다"며 "전기차 수요 감소와 높아진 규제 문턱은 충전 사업을 영위하기에 부담으로 작용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