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교통약자 1586만명. 고령화로 증가세'이동편의시설' 설치 늘었으나 항공기 불편 커
  • ▲ 교통약자 차량 모습 ⓒ연합뉴스
    ▲ 교통약자 차량 모습 ⓒ연합뉴스
    인구 고령화의 영향으로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교통약자 수가 전년 대비 약 18만명 증가한 1586만명으로 집계됐다.

    4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3년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교통약자 수는 총인구 5133만명의 30.9%인 1586만명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총인구수는 2022년 대비 약 11만명(-0.2%) 감소했지만, 교통약자는 약 18만명(1.1%) 증가한 것이다.

    교통약자는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 동반자, 어린이 등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사람을 일컫는다.

    유형별로는 고령자(65세 이상)가 973만명으로 가장 높은 비율(61.3%)을 차지했다. 장애인 264만명(16.7%), 어린이 230만명(14.5%), 영유아 동반자 245만명(15.4%), 임산부 23만명(1.4%) 순으로 이어졌다.

    교통약자의 주 이용 교통수단을 조사한 결과, 자치구 내 이동 시에는 버스(32.4%)를 이용하거나 보행(29.8%)으로 주로 이동했다. 특별·광역·자치시 내 이동에는 버스(42.6%), 지하철(28.1%)을 대체로 이용했고, 시외로 이동할 경우 승용차(62.8%), 기차(15.5%)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의 경우 모든 통행에서 바우처·임차택시(기초 15.0%, 광역 20.0%, 지역 간 12.1%) 및 특별교통수단(기초 5.5%, 광역 6.7%, 지역 간 3.1%)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시각장애인의 버스·지하철 이용률(기초 25%, 광역 35.1%)은 지체(기초 52.5%, 광역 54.8%)·청각(기초 68.9%, 광역 65.6%) 장애인의 버스・지하철 이용률에 비해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작년 특별·광역시의 교통수단, 여객시설, 도로(보행환경)를 대상으로 한 이동편의시설의 기준적합 설치율은 85.3%로 조사됐다. 이는 2021년 조사에 비해 3.8%포인트(p) 증가한 수치다. 이동편의시설은 장애인용 승강기, 임산부 휴게시설 등 교통약자의 편리한 이동을 위한 시설을 뜻한다.

    특히 전자문자 안내판, 휠체어 승강설비 등 교통수단의 이동편의시설 기준적합 설치율은 88.3%로 2021년보다 8%p 상승하는 등 모든 부문에서 증가했다. 교통약자 화장실, 점자블록 등 여객시설 이동편의시설 기준적합 설치율은 2021년 대비 2.8%p 상승한 82.8%로 집계됐다.

    계단이 없고 차체가 낮아 휠체어 이용자, 고령자 등의 승·하차가 용이한 저상버스(시내버스)의 2023년 전국 보급률은 38.9%로 2022년 대비 4.1%p 올랐다. 특별교통수단은 법정대수 대비 약 101.4%로 나타났다.

    박정수 국토부 종합교통정책관은 "교통약자 이동 편의 증진을 위한 관심으로 이동편의시설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결과가 나타났다"며 "실태조사 결과를 전국 교통행정기관과 사업자에 제공해 개선 방향을 제시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동편의시설 지속 확충 노력과 함께 교통약자 서비스를 제고할 수 있도록 현장 종사자·관리자 교육을 강화하고 시청각 정보 안내를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유도해 나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