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만족도, 저소득·고연령 낮은 경향자살률 9년만에 최고 … 韓, OECD 1위
-
- ▲ 한국인 CG ⓒ연합뉴스
한국인 삶의 만족도가 4년 만에 줄어들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33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통계청이 24일 발표한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4점으로 전년 대비 0.1점 떨어졌다. 삶의 만족도는 객관적 삶의 조건에 대한 개인들의 주관적인 만족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현재 삶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한국인의 삶의 만족도는 2017년 처음으로 6점대로 올라섰다가 코로나19 시국에 6.0점으로 떨어졌다. 이후 2021년 6.3점, 2022년 6.5점으로 올랐지만 이번에 꺾였다. 남녀 모두 6.4점으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지만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서 6.2점으로 낮은 반면 40대 이하에서는 6.5~6.6점으로 비교적 높아 차이를 보였다.소득별 차이도 두드러졌다. 월 100만원 미만 저소득층 삶의 만족도는 5.7점이었으나 100만~200만원에서는 6.1점, 500만 원 이상은 6.6점으로 격차가 났다. 특히 200만원 미만인 집단에서 전년 대비 감소폭(-0.3%포인트)이 유독 컸다. 직업별로도 전문관리직과 사무직은 6.7점이었지만 농림어업은 6.1점, 기능노무직은 6.3점이었다.국제연합(UN)에서 발간하는 세계행복보고서의 국제 비교 기준에 맞춰 2021~2023년 3개년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한국은 6.06점으로 OECD 평균인 6.69점보다 0.63점 낮았다. 다만 직전 보고서에서 기록한 35위보다는 2단계 나아졌다. 국가별로 보면 핀란드가 7.74점으로 가장 높았고 독일(6.72점), 미국(6.72점), 호주(7.06점) 등도 OECD 평균보다 높았다.OECD의 '주관적 웰빙 측정 가이드라인'에서 권고하고 있는 핵심항목인 '긍정정서'의 경우 한국은 2023년 6.7점으로 2021년 이후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가구소득별로 비교해보면 월 500만원 이상인 집단에서는 6.8점 이상인 반면 100만원 미만 집단은 6.1점으로 전체 평균보다 0.6점 낮았다. 특히 300만원 이상부터 6.7점 이상으로 올라서며 저소득층의 행복정서가 낮게 조사됐다.직업별로 보면 전문관리직과 사무직에서 긍정정서가 6.9점으로 높았으나 농림어업직 6.4점, 기능노무직 6.5점으로 낮았다. 아울러 고용률, 학교생활 만족도, 스트레스 인지율, 주관적 건강상태, 신체활동실천율, 가구순자산, 대기질·소음 만족도, 기대수명, 가구중위소득, 주택임대료비율, 아동학대피해경험률 등 지표들이 주로 개선됐다. 반면 실업률, 가족관계만족도, 교육비부담도, 학교교육효과, 야간보행안전도, 수질·토양환경·녹지환경 만족도, 기후변화불안도, 안전에 대한 인식, 자살률, 여가시간, 미세먼지농도, 기관신뢰도, 대인신뢰도 등은 악화됐다.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이하 자살률)은 2022년 25.2명에서 2023년 27.3명으로 올랐다. 자살률은 2011년 31.7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점차 하락해 2017년 24.3명까지 떨어졌으며 이후 등락을 반복하다가 2023년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2014년(27.3명) 이후 9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의 자살률이 38.3명으로 더 높았다. 여성의 자살률은 16.5명이었다. OECD에서 작성하는 국제 비교 자료 기준 한국의 자살률도 2021년 10만명당 24.3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