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대표, 3월 임기 끝… 연임 여부 촉각현대글로비스서 벌크선 사업 확장 주도SK해운 벌크섭 사업부 인수 진두지휘 기대인수 후 사업 다각화→안정적 성장토대 마련
-
- ▲ 김경배 대표. ⓒHMM
김경배 HMM 대표 임기 만료가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3연임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HMM가 현재 SK해운의 벌크선 부문 인수를 검토 중인 상황에서 김 대표가 벌크선 사업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해당 인수건을 성공적으로 이끌 적임자로 평가돼서다.25일 업계에 따르면 김경배 대표는 지난 2022년 3월 HMM 수장에 올라 2년 임기를 수행한 후 지난해 3월 1년 연임에 성공, 오는 3월 28일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이번에 3연임에 성공한다면 2016년 채권단 체재 돌입 이후 CEO 가운데선 최장 임기 기록을 세우게 된다.김 대표 체제의 HMM은 코로나19와 홍해 사태 장기화에 따른 해상운임 강세에 힘입어 급성장했다. 매출은 2020년 6조4133억원 규모에서 2021년 13조7941억원, 2022년 18조5828억원 등 늘었고 업황 피크아웃(정점 통과) 이후인 2023년과 2024년에도 각각 8조4010억원, 2024년 11조7002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외형 확장을 지속했다.2020년 9808억원 수준이던 영업이익 또한 2021년 7조3775억원, 2022년 9조9516억원으로 급증하며 2021년과 2022년에는 50%가 넘는 영업이익률을 올리는 기염을 토했다. 2023년 영업이익은 해상운임 정상화로 5848억원까지 내려왔지만 2024년 3조5128억원을 달성, 30%의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이 사이 HMM의 현금자산도 급증했다. 1년 내 현금화가 가능한 단기금융상품을 포함한 현금성자산은 2019년 6578억원 규모에서 2020년 1조1461억원, 2021년 6조4615억원, 2022년 11조9456억원, 2023년 11조7568억원 등 늘었고 2024년 14조원 수준까지 확대됐다. 향후 해운업황 불황을 대비한 투자 실탄을 든든히 확보한 셈이다.김 대표는 선대 확대와 친환경 투자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물류사업으로의 포트폴리오 다각화, 재무 안정화, 디지털 혁신 등 크게 네 축을 중심으로 중장기 성장전략을 마련했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총 23조5000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김 대표의 지난 3년 경영성과는 ‘합격점’으로 평가되는 가운데 최근 HMM의 SM해운 벌크선 사업 인수도 중장기 투자전략의 일환으로 지목되고 있다. 최근 한앤컴퍼니는 SK해운의 일부 자산 및 사업부 매각을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HMM을 선정해 절차가 진행 중이다.HMM은 SK해운의 탱커선, LPG(액화석유가스)선, 벌크선 사업부 등을 인수하기 위한 실사를 내달 중순까지 진행한 후 최종 계약 여부를 판단할 방침이다. 2014년 현대상선 시절 LNG 사업부(현 현대 LNG 해운) 매각 당시 맺은 겸업 금지 조항에 따라 LNG 부문은 인수 검토 대상에서 빠졌다.HMM이 SK해운 인수에 나선 것은 85%에 달하는 컨테이너 사업 비중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탱커선 등 벌크 사업은 화주와 장기 계약을 맺는 특성상 안정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벌크선 사업 비중을 키워 시장 상황에 따라 운임 변동폭이 큰 컨테이너선에 집중된 포트폴리오를 분산, 균형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김 대표가 벌크선 사업 이해도가 높다는 점에서 연임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김 대표는 현대차그룹의 철강·설비·건설 물류 계열사인 현대글로비스에서 2009년부터 2017년까지 대표이사를 지냈고, 2018년에는 자동차 부품사인 현대위아 대표이사로 근무했다.김 대표는 특히 현대글로비스에서 기존의 자동차 물류 중심 사업을 넘어 벌크선과 탱커선으로의 사업 확장을 이끌었다. 벌크선은 주로 철광석, 석탄, 곡물 등 대량 원자재를 운송하는 선박이다. 2010년대 중반 현대글로비스는 벌크선 운송을 통해 현대제철 등 계열사의 원자재 운송을 지원하며 효율성을 높였다.SK해운의 전체 몸값이 3조~4조원대로, HMM이 보유한 현금에 비춰볼 때 인수 여력은 충분히 갖췄다. LNG선 사업부 등을 제외한 분리 매각 시 SK해운의 몸값은 2조원 안팎(부채 제외 기준)으로 거론된다.한편 SK해운 인수로 HMM 몸집이 커져 새 주인 찾는 더욱 어려울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HMM은 산업은행(33.73%)과 해양진흥공사(33.32%)이 대주주로, 민영화를 최대 과제로 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