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보험사 8곳 사외이사 66% 이달 중 임기 만료오는 4월부터 무·저해지보험 가이드라인 본격 적용돼업계 "건전성 유지를 위해 노력할 것"
-
- ▲ ⓒ연합뉴스
보험업계가 금융당국 출신 사외이사 영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오는 4월부터 본격 적용되는 무·저해지 보험 해지율 가이드라인 등 금융당국의 정책과 규제가 경영에 미치는 영향이 그 어느 때보다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규제 대응과 당국과의 소통 강화를 위해 사외이사 선임에 공을 들이고 있는 것이다.◇3월 주주총회 앞두고 사외이사 영입 '러시'보험업계는 보험 건전성 규제 강화, 금융당국의 감독 기조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금융권에 따르면 삼성·한화·교보생명, 삼성화재·DB손보·메리츠화재·현대해상·KB손보 등 8개 대형 보험사의 사외이사 33명 중 22명(66%)이 이달 내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이에 따라 보험사들은 기존 사외이사를 연임하거나 새로운 인물을 선임해 이사회를 재편해야 하는 상황이다. 다만 지배구조법 상 최대 임기인 6년을 채운 이근창 삼성생명 사외이사, 최정호 DB손보 사외이사, 김태진 현대해상 사외이사는 연임할 수 없다.지난 6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퇴직 공직자 취업심사를 통해 구윤철 전 국무조정실장의 삼성생명 사외이사직 재취업을 승인받았다.한화손보는 오는 19일 정기 주총에서 유광열 전 SGI서울보증 대표이사를 신임 사외이사로 선임할 예정이다. 유 전 대표는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장,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을 역임한 금융당국 출신이다.현대해상 역시 21일 정기 주총에서 도효정 법무법인 율촌 변호사를 신임 사외이사로 선임할 계획이다. 도 변호사는 2013년부터 10여년간 금융감독원 보험준법검사국, 손해보험검사국, 보험감독국 등에서 근무하며 보험·금융법 분야에서 전문성을 쌓아왔다.◇올해는 '건전성' 사수에 '총력' … 킥스 비율 '유지'지난해 보험업계는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다. 주요 손해보험사 5곳의 연간 당기순이익은 7조4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6.6% 증가했다. 삼성생명과 한화생명 등 대형 생명보험사 2곳도 전년 대비 9.2% 증가한 2조972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그러나 올해부터는 상황이 달라졌다. 금융당국이 일부 보험사의 이익 부풀리기 논란을 차단하기 위해 무·저해지보험 해지율과 단기납 종신보험 해지율 등의 계리적 가정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면서, 보험사들의 CSM(보험계약서비스마진)과 당기순이익 규모가 예상보다 더 축소될 가능성이 커졌다.특히 보험사들은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인 킥스(K-ICS) 비율 유지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다. 킥스 비율은 가용자본(자본)을 요구자본(부채)로 나눈 값으로 금리 하락 시 부채 규모가 커지면서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올해 금리 인하 국면이 본격화되면 보험사들의 킥스 비율 유지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