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림상장 3사(페이퍼, SP, P&P)실적 개선 속 배당이 회장은 총 35억4190억 수령, 이 대표는 9억원 받아 작년 고환율에 펄프값 상승으로 영업익 큰 폭 상승
  • 지난해 무림그룹(무림SP·무림페이퍼·무림P&P)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되며 이동욱 회장과 장남 이도균 대표이사가 총 44억원의 보수와 배당을 받게 됐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2024년 사업보고서를 통해 공시한 보수 및 배당 현황을 취합한 결과, 이동욱 회장은 총 35억4190만원을 받게 됐다. 이도균 대표는 9억759만원이다. 이 대표는 무림그룹 고(故) 이무일 창업주 장손이자 이 회장의 장남이다.

    각 기업별로 살펴보면 이 회장은 지난해 무림페이퍼로부터 총 16억5900만원을 받았다. 급여가 6억8600만원, 상여가 9억7300만원이었다. 

    이도균 대표는 등기이사로 1억 8400만원을 받았다. 

    이들 부자는 올해 무림페이퍼가 배당금을 전년 주당 75원에서 100원으로 약 33% 올리면서 배당수익도 증가했다. 

    이 회장은 무림페이퍼 주식 787만7646주를 보유해 7억8776만4600원을 배당으로 받게 됐다. 이 대표는 512만2966주를 보유해 5억1229만6600원을 수령한다. 

    무림P&P에서는 이 회장은 금여 9억6500만원, 상여 8400만원으로 총 10억4900만원을 수령했다. 이 대표는 등기이사로 1억3600만원을 받았다. 이들은 무림P&P의 주식을 소유하고 있지 않아 별도의 배당금은 받지 않았다. 

    무림그룹의 지주사인 무림SP에서 이동욱 회장은 별도의 보수를 받지 않았다. 대신 소유 주식 배당금으로 4613만9760원을 받게 된다. 이 대표는 등기이사 보수로 2800만원을 받고 역시 배당금으로 4729만9700원을 수령한다. 

    무림그룹의 배당확대와 총수 일가의 보수 확대 배경에는 실적 개선이 자리하고 있다. 무림SP는 지난해 매출이 1769억원으로 전년보다 9.1% 증가했다. 영업이익도 흑자로 전환해 6600만원을 기록했다. 

    무림페이퍼 역시 매출 1조3939억원으로 1년 전보다 5.4% 확대됐고 영업이익은 894억원으로 32%나 올랐다. 무림P&P도 매출이 8116억원으로 1년새 5.6% 확대됐다. 영업이익은 214% 증가한 356억원으로 집계됐다. 

    무림그룹의 호실적 배경에는 국제 펄프 가격 안정과 미 환율 급등이 영향을 끼쳤다. 무림페이퍼의 경우, 내수와 수출 비중이 절반 정도 되는데 지난해 펄프값이 안정되고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를 웃돌면서 '환효과'를 거뒀다. 

    무림그룹은 내부적으로 환율 영향력을 줄이고, 글로벌 펄프가격으로 요동치는 수익성에 대응하기 위해 펄프는 국내 생산과 동시에 수입도 병행해서 자체 헷지 수단으로 활용한다. 

    또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을 위해 바이오 플라스틱인 '셀룰루스' 섬유 개발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고강도 내열성 자동차 내장재 등 활용 영역이 넓어 개발이 완료되면 매출라인을 다각화 할 수 있다.  

    무림페이퍼 관계자는 "셀룰로스 계열 신소재 개발에서 국내에서는 가장 앞서 있다"면서 "현재 연구가 각 단계별로 진행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