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 등에 KS표준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50기 설치차량 제조·수입사 등도 구매 부담 완화에 동참내달 1일부터 접수
-
- ▲ 전기이륜차.ⓒ연합뉴스
서울시가 상업용 전기이륜차(전기 오토바이) 보급 확산을 위해 올해 상반기 지원 규모를 2배 이상 확대한다고 27일 밝혔다.시는 배달업 종사자, 배달플랫폼사 등과의 간담회를 통해 배달 라이더의 66.2%를 차지하는 20~30대 청년의 초기 구매비용 부담과 충전 인프라 부족 등이 전기이륜차 확대에 걸림돌이 된다고 파악했다.이에 시는 먼저 배달업 종사자와 소상공인의 전기이륜차 구매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보조금 지원을 한시적으로 2배 이상 확대하기로 했다. 배달용 차량의 구매보조금을 10%에서 30%로 확대한다. 소상공인 차량의 구매보조금 20%를 추가하고, 배터리 교환형(공유형) 전기이륜차에도 구매보조금 30%를 지원한다.충전 불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BSS)을 확충한다. 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제정한 KS표준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50기를 설치할 계획이다. 안암동, 신림동 등 대학가와 주요 상권 밀집 지역 20개 행정동에 우선 충전 인프라를 구축한다. 3시간 이상 걸리던 기존 충전 시간을 배터리 교체를 통해 1분 이내로 단축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차량 제조·수입사, 배터리 교환형 충전사업자 등 민간에서도 지원에 동참한다. 제조·수입사가 협력해 50만 원 가격 할인 시, 시 보조금도 최대 15만 원 추가 지원된다. 제조·수입사는 배달업에 필요한 배달용품도 무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차량 가격 할인에 참여하는 제조사는 공고를 통해 모집할 예정이다. 현재 디앤에이모터스, 대동모빌리티, 와코 등 10개 사가 참여 의사를 밝혔다고 시는 전했다.배터리 교환형 충전사업자는 배터리 이용료를 최대 20%쯤 할인할 예정이다. 월평균 배터리 이용료가 16만 원인 경우 13만 원 수준으로 낮아진다. 디앤에이모터스, 젠트로피가 참여 의사를 밝혔다.상반기 보조금 신청은 다음 달 1일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www.ev.or.kr)에서 받는다. 보조금은 규모·유형, 성능에 따라 달라진다. 경형 140만 원, 대형 300만 원 등이다. 접수일 기준 서울시에 30일 이상 살거나 주사무소로 사업자등록을 한 개인, 법인, 공공기관 등이 신청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누리집(www.seoul.go.kr)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권민 시 기후환경본부장은 "도심 내 활용이 많은 배달 이륜차가 전동화되면 소음과 매연,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다. 민관이 힘을 모아 조용하고 깨끗한 서울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