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외부 비판론 확산에도 '결정 존중' 기존 입장 고수박단 부회장 '미등록 시사' SNS 발언엔 "아직 파악 못해"의협회장發 메시지로 결과 바뀐다면 바로 발표했을 것
-
- ▲ ⓒ뉴데일리DB
대한의사협회(의협)이 제적 위기에 몰린 다수의 미등록 의대생에게 '복귀 메시지' 전달을 끝내 하지 못했다. 각 대학 총장을 향해 데드라인 연장을 요구하는 입장을 보이긴 했지만 "각자의 판단을 존중한다"는 기존의 입장을 고수했다. 의대생도 성인이기 때문에 가타부타 개입하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28일 대한의사협회(의협)은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정례 브리핑을 열어 의대생 복귀 시한 관련한 입장을 발표했다. 3월 말일부로 대규모 제적 사태가 예상돼 의료계 내외부에서 명확한 메시지가 필요하다는 압박이 있지만 큰 변화는 없었다.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선도하겠다, 이끌겠다 등 의견을 내는 것은 의대생도 성인임을 부정하는 것"이라며 "의협이 투쟁할테니 학생은 돌아오라고 말하는 것은 학생들을 믿지 못하는 행위"라고 언급했다.이어 "학생들이 독립적인 판단을 내리는 주체로서 결정을 할 것으로 믿는다. 그들이 내린 결정은 어떤 결정이든 존중돼야 할 것"이라고 기존의 입장을 반복했다.이 메시지의 한계는 '책임도 뒤따라야 한다'는 내용이 삭제됐다는 점이다. 현재 의협 차원에서 제적에 대응하기 위한 '휴학 허용' 근거 등에 대한 법률 검토를 진행 중이다. 하지만 학칙에 따른 결정을 번복할 묘수는 없는 실정이다.박단 의협 부회장은 SNS에 "상대의 칼끝은 내 목을 겨누고 있는데 팔 한 짝 내놓을 각오도 없이 뭘 하겠다고. 등록 후 수업 거부를 하면 제적에서 자유로운 건 맞나. 저쪽이 원하는 건 결국 굴종 아닌가. 죽거나 살거나, 선택지는 둘뿐. 학교가 나서서 친절하게 알려주고 있는데 왜. 아직 주저앉을 때가 아니다"라고 작성했다.미등록을 선택하라는 의미가 담긴 이 문장과 관련 의협 차원에서는 "아직 파악하지 못했다"며 "의협이 의대생의 투쟁 방향에 대해 개입하거나 언급할 이유는 없다"고 했다.다만 "각 의대 학장, 총장들은 현재의 국가재난사태에 학생들의 재난적 상황을 더해 혼란을 가중시키지 않기를 바란다"며 데드라인 연장의 필요성을 일부 주장했다. 산불로 고통이 큰 지역에서는 학사일정 조정 등이 이뤄지고 있다.의협이 소극적 태도로 일관하는 모습에 의료계 내외부에서 비판이 쏟아지고 있지만, 이는 표면적인 부분에 불과하다고 해명했다.김 대변인은 "책임지지 않아도 되는 개인의 발언과 단체의 무게감이 어찌 같을 수 있겠는가. 누구보다 더 많이 소통하고 문제해결을 위해 뛰고 있는 의협이다. 책으로 펴내면 몇 권이 나올 것"이라고 했다.그는 "의협이 각종 비난을 받고 있지만 성과로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의협회장이 어떤 메시지를 내서 일의 결과가 좋아진다면 지금이라도 바로 의견을 내려고 했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