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토크콘서트 '미래세대 목소리 듣다' 개최KAIST 출신 창업가·학생 등 200여명 참석'AI 오케스트레이션' 등 다양한 비전 제시
  • ▲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대한상의
    ▲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대한상의
    #1. “3년 안에 우리가 지금까지 하던 대부분의 일은 AI로 대체될 것입니다. 기업의 업무방식이 인공지능 전환(AX)을 이루려면, 수백 개의 AI 모델과 에이전트를 통합해 운영하는 ‘AI 오케스트레이션’이 필요합니다. 기업은 이런 변화에 어떻게 대응할지 준비해야 합니다.” (베슬AI 안재만 대표)
    #2. “앞으로 AI데이터센터에 대한 수요는 더 늘 것입니다. 데이터센터 운영에는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한데, 친환경 에너지만으로 운영이 가능할까요? 이제 AI가 친환경에너지 기술이나 사회의 지속가능성과 융합될 수 있는 방법도 논의해야 합니다.” (식스티헤르츠 김종규 대표)

    대한상공회의소와 KAIST는 지난 2일 KAIST 대전 본원 KI빌딩 서남표 퓨전홀에서 ‘미래세대와의 AI 토크콘서트’를 공동 개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KAIST 출신의 AI 분야 창업자 및 청년 연구자들과 산업계·학계 리더가 한자리에 모여 AI 기술의 현재와 산업의 미래, AI가 우리 사회에 미칠 영향에 대한 진솔한 대화를 나누는 소통의 장으로 마련됐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환영사를 통해 “오늘 이 자리를 통해 우리나라 AI 생태계 구축과 산업의 발전방향에 대한 젊은 창업자와 연구자들이 갖고 있는 생각을 기업과 학계가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최태원 회장은 인사말에서 “여러분이 AI 같은 툴을 여러 가지로 개발해 사회에 빛이 되고 사회에서 안고 있는 많은 문제들을 풀 수 있는 요람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저도 작지만 여러분이 그런 역할을 더 할 수 있도록 지원이나 뒷받침을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는 최태원 회장, 이광형 총장과 함께 KAIST 출신 청년 AI 창업자 및 연구자들 간 AI 산업에 대한 격 없는 대화가 오고 갔다. 특히 청년 창업자들은 생생한 AI 산업 현장의 소리를 전하며 국내 AI 산업의 비전과 발전방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다.

    안재만 베슬AI 대표는 “AI가 기업의 전략·기획·제품 개발 등 전 분야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며 “수많은 AI 모델과 에이전트를 통합 운영하는‘AI 오케스트레이션’이 미래기업의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 대표는“단일 AI 모델로서는 기업 경영의 효용성을 극대화 할 수 없는 만큼 AI와 AI가 서로 협업할 수 있는 가교를 놔주는 전략을 기업들이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찬 플로틱 대표는 “AI는 이미 스스로 질문하는 존재가 돼가고 있다”며 “만약에 인간이 만든 AI가 인간에게 나를 왜 만들었는지 묻는다면 우리는 어떤 철학적 방향으로 그 물음에 답해야 할지 고민을 시작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종규 식스티헤르츠 대표는 AI 기술과 사회문제 해결에 대해 의견을 더했다. 김 대표는 “저희 회사도 AI를 활용해 재생에너지와 전기차 등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며 “기후위기나 각종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AI 기술이 큰 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동시에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민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노현섭 플랜바이테크놀로지스의 대표는 건축 디자인에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한 경험을 소개하며, 산업 내 AI 도입이 어떻게 비즈니스 가치를 변모시키고 있는지 설명했다. 그는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서는 결국 산업별 특화 AI가 핵심인 만큼 ‘버티컬 AI’ 중심의 재편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패널 토론 이후 현장에서는 질의․응답 시간이 이어졌다. ‘AI 스타트업이 국내외 다른 기업과 어떻게 협업모델을 구축할지’등 사업에 대한 조언을 비롯해, ‘국내 AI 연구 인력들이 해외로 가지 않고 국내에서도 역량을 펼칠 수 있도록 지원해달라’는 건의도 쏟아졌다.

    이날 토크콘서트 현장에 참석한 학생들은 “산업계의 관점에서 AI기술의 산업화를 바라보고, 다른 기업과의 협력모델을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었다”며 “청년세대와 허심탄회하게 AI 기술의 미래와 산업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해주어 감사하다”는 소감을 전했다.

    한편 이날 토크콘서트에는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정태희 대전상의 회장, 이형희 SK수펙스추구협의회 위원장 등 기업 대표를 비롯해 이광형 KAIST 총장, 정송 KAIST AI대학원장, KAIST 학생 및 청년 예비 창업자 약 200여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