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LX공간정보연구원·웨이버스 등 대학·연구기관·기업 등 18개 기관 참여
-
- ▲ 안양대 장광수 총장(오른쪽 세 번째)과 안종욱 연구단장(왼쪽 네 번째), 안양대 스마트도시공간연구소 연구원들이 국책사업 선정 보고 후 기념사진을 촬영했다.ⓒ안양대
안양대학교는 안종욱 교수가 이끄는 연구단 컨소시엄이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국토정보 고도화를 위한 입체격자체계 적용 및 활용 기술개발(R&D)' 사업자로 선정돼 앞으로 5년간 230억 원의 정부지원금을 받는다고 7일 밝혔다.해당 사업은 UAM(도심항공교통)과 자율주행차, 실내 자율주행로봇 등 첨단 모빌리티를 지원하는 ▲공간데이터큐브 저장·관리 자동화와 최적화 기술개발 ▲공간데이터큐브 기반 융복합 분석과 지능화 기술개발 ▲첨단모빌리티 대상별 공간데이터큐브 기반 HCMI 맵 구축과 실증 등 3개 구성기술을 연구·개발한다.안양대 연구단 컨소시엄에는 안양대와 서울시립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연구원, LX공간정보연구원, 공간정보산업진흥원, 가이아3D, 씨엠월드, 에스지앤아이, 헬리오센, 신영이에스디, 포도, 올포랜드, 웨이버스, 지오스토리, 모라이, 아이씨티웨이 등 대학과 연구기관, 기업 등 총 18개 기관이 참여한다.연구단 컨소시엄은 이번 사업을 통해 공중과 지상, 실내공간에서 UAM, 자율주행차, 실내 자율주행로봇과 같은 첨단 모빌리티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자율운행을 지원하는 공간정보 기술을 개발한다.특히 이번 공간데이터큐브 기반의 공간정보체계 기술개발로 ▲머신맵, 휴먼맵 구축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 절감 ▲국제표준화 선도와 기술 안전성 확보 ▲첨단모빌리티 산업의 기술생태계 지원을 위한 핵심기술 실증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안 단장은 "이번 입체격자체계 핵심기술 개발사업이 대한민국 공간정보 산업을 선도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5년간의 연구를 통해 국토정보의 디지털 대전환을 촉진하고 첨단모빌리티 시대를 앞당기는 데 이바지하겠다"고 강조했다.장광수 총장은 "지·산·학·연 협력을 통한 3차원 공간정보의 성공적인 개발로 일자리 창출은 물론 안양대의 위상을 크게 높여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
- ▲ 안양대학교 전경. 우측 하단은 장광수 총장.ⓒ안양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