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코스닥, 올해 9.48%·6.91%↑ … 주요국 대비 선방증권가, 올 하반기 코스피 예상 밴드 2200~2900대 제시“신정부 경제 부양 정책 기대 … 관세 불확실성은 지속”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올해 코스피는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과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서도 3월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 동안 강세를 보이며 주요국 증시 대비 선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투자자들은 조기 대선과 미 관세 정책 불확실성, 지정학적 리스크 등 대내외 변수 속 투자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하반기 증시 방향성 탐색에 열을 올리는 모습이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올해 들어 지난 16일까지 2399.49에서 2626.87으로 9.48% 상승했다. 이 기간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과 기관투자자들은 각각 2905억원, 6조3998억원을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은 14조1875억원을 순매도했다.

    코스피는 올해 대부분 기간 강세장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2399.49에서 출발한 지수는 1월 4.91%나 급등했고 2월에도 0.61% 상승했다. 3월에는 월말 공매도 전면 재개 등에 대한 경계심으로 2.04% 하락했지만, 4월 3.04% 오른 데 이어 5월에도 16일까지 2.75% 상승세를 이어오고 있다.

    같은 기간 코스닥 지수의 경우 678.19에서 725.07로 6.91% 상승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개인 홀로 4조1168억원어치를 사들였고 외국인과 기관은 2조4028억원, 8274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올해 코스피 지수의 수익률은 주요국 증시 중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지수(19.38%)와 홍콩 증시의 항셍지수(16.38%) 등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 뉴욕증시 3대 지수인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0.26%),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1.30%), 나스닥 지수(-0.52%)를 웃돌았다.

    이 밖에 ▲영국 런던 증시 FTSE100지수(6.26%) ▲인도 증시 센섹스지수(5.36%) ▲중국 증시 상하이종합지수(0.47%) ▲일본 도쿄증시 닛케이225지수(-5.37%) 등 대비로도 국내 증시의 수익률이 높았다.

    아직 상반기가 마무리되기까지는 약 1개월하고 보름의 기간이 남았지만, 투자자들은 이미 하반기 증시 방향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오는 6월 3일 조기 대선 이후 신정부의 정책·규제 변화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 지정학적 리스크 등 대내외 변수가 산재해있는 만큼 일찍이 투자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다.

    증권가에서는 올 하반기 코스피 예상 밴드를 2200~2900대로 제시했다. 지수 하단을 가장 낮게 제시한 DB증권은 코스피 후행(Trailing) 주가순자산비율(PBR) 0.75배를 환산한 2200대 이상으로 이탈하진 않을 것이라고 봤다. 현재 코스피의 PBR은 0.89배다.

    코스피 후행 PBR 0.75배의 견고함은 2000년대 초반 사례에서도 나타난다. 당시 미국 주식시장의 하락에도 불구, 한국 시장은 후행 PBR 0.75배 도달 이후 추가 하락을 멈추고 횡보세를 나타낸 바 있다.

    강현기 DB증권 연구원은 “현실적으로 한국 주식시장은 미국 시장의 움직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며 그 흔들림의 기능성을 고려해야 한다”며 “한국 수출 증가율 내림세와 함께 교역조건 증가율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점이 코스피를 압박한다”고 설명했다.

    김성노 BNK투자증권 연구원도 “올해 1분기 국내 기업실적은 사상 최대를 기록했지만, 관세 전쟁에 따른 불확실성과 수출물가지수 둔화 등을 고려하면 2분기 이후의 이익 가시성(earnings visibility)은 높지 않을 것”이라며 “한국 시장의 저평가 해소를 위해서는 국내 수급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오는 6월 조기 대선 이후 신정부의 정책·규제 변화도 불확실성 요인으로 꼽히지만, 대선 결과나 진영논리와 상관없이 ▲민간·기업 주도 경제 성장 ▲고강도 정책부양을 통한 경기 둔화·침체 대응 강화 ▲기업 지배구조 개선·주주 친화적 재무정책 변화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통한 증시 활성화 ▲인공지능(AI), 반도체, 바이오 등 신성장 동력 집중 육성 등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한 만큼 관련 의제들은 신정부 출범 초기 국정운영의 핵심 골자를 구성할 개연성이 높다.

    김용구 유안타증권은 “신정부의 정책 주안점은 대규모 정책 부양을 활용한 내수경기 활성화와 미래산업 육성으로 신정부 출범·관련 정책 기대를 반영한 수혜주의 핵심 원천으로서 중대형 성장주를 주목해야 한다”며 “특히 윤석열 정권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은 신정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로 계승될 것으로 보여 주주 친화적 재무 정책 변화 관련 중장기적 투자 기회를 하반기 시장의 알파 원천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최근 미국이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 주요국들과의 관세 협상에 속도를 내고 있음에도 관련 불확실성은 지속될 전망이다. 박석중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미-중 협상에 갖는 금융시장의 과도한 낙관은 경계될 필요가 있다”며 “미-중 분쟁은 확산(De-coupling)과 해소(Deresking)의 이분법적 이벤트이기보다 해결 대안이 부재한 구조적 대립(공급망 재편)으로 이해해야 하며 90일 유예의 한시적 협상 시간에서 추가 불안에도 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김시청 한국투자증권 연구원도 “미-중 관세 분쟁이 최악의 상황은 지났다”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은 올해 내내 지속될 가능성이 커 변동성 높은 장세는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올 하반기 방어적 포트폴리오를 가져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포트폴리오는 ‘방어’에 집중한다. 관세와 무관하면서도 시대정신 하에 성장 중인 방산(Defense)에 관심은 지속된다”며 “여기에 대내외 불확실성에 방어적(Defensive) 업종인 내수주를 바벨 전략으로 선호하며 러-우 전쟁 종전 가능성·대선, 중국 정책 모멘텀 등을 고려 시 소비재(화장품>유통>음식료), 레저(엔터>카지노·게임>미디어), 건설 등이 해당한다”고 말했다.

    강현기 연구원은 “올해 하반기 한국 주식시장의 방향성을 고려한다면 ▲저베타 전략(음식료·통신서비스·유틸리티) ▲실적개선주(화학) ▲저평가 업종(건설·소매유통·호텔레저서비스) 등을 중심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