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수익성보단 건전성 관리 주력 … 수신잔고 균형 '안간힘'연체율 '비상'에 당국도 감독 강화 … 10개 저축은행 현장검사 계획
  • ▲ ⓒ저축은행중앙회
    ▲ ⓒ저축은행중앙회
    예금보호한도가 오는 9월부터 1억원으로 높아지지만 자금 유입에 대한 저축은행업권의 유인은 오히려 줄고 있다.

    올 1분기 수신잔액은 8개월 만에 100조원 아래로 떨어졌으며 '머니무브'를 기대하는 영업전략도 금융권의 예상보다 저조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19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저축은행 수신잔액은 99조5873억원으로 나타났다. 수신잔고가 100조원대를 밑돈 것은 지난해 7월(99조9128억원) 이후 8개월 만이다.

    금리 인하 기조로 업권의 경쟁력이 약화되면서 저축은행의 수신이 감소하고 있는 것이다. 이날 기준 저축은행의 12개월 기준 예금금리는 2.96%로 나타났는데, 최근 시중은행과의 금리 격차가 좁혀지면서 통상 고금리 특징을 내세웠던 저축은행의 수신 매력도는 줄고 있는 추세다.

    장기 침체를 겪고 있는 업황과 이에 따른 소극적인 대출 전략도 수신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부실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여파로 연체율이 치솟았고 건전성 관리를 위해 보수적인 영업 전략을 펼친 탓이다. 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 연체율은 8.52%로 2015년 말(9.2%)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도 연체율 상승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업권에선 "수익성보단 건전성 관리가 더 시급하다"는 말이 나온다.

    저축은행 건전성 관리를 위한 금융감독원의 고삐도 한층 더 조여지고 있다. 금감원은 이날 업계 자산 규모 2위인 OK저축은행을 시작으로 하반기까지 총 10여개사에 대한 현장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금감원은 이날 오후 본원에서 저축은행 79개사 CEO(최고경영자)들과 만난다. 행사 취지는 저축은행의 건전성 관리를 당부하기 위한 것으로, 이복현 금감원장의 임기가 한 달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이 같은 간담회 개최는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건전성 강화를 위한 수신 조율 기조가 이어지면서 업권에선 예금보호한도 상향에 따른 '머니무브' 기대감도 예상보단 떨어지는 분위기다.

    오늘 9월 1일부터는 전 금융권의 예금보호한도가 기존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올라가는데, 저축은행업계는 고금리 수신을 제한하고 있는 만큼 자금이 이동할 가능성이 예상보다 높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수익성을 낼 만한 투자처가 없는 상황에서 고금리 수신만 늘리면 자칫 부채상승, 역마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예금자보호한도가 늘어나면 예금보험료 또한 인상되기 때문에 업권에선 조달 비용 상승이 부담스러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관계자는 또 "예금자 입장에선 공신력이 올라가지만, 저축은행뿐만 아니라 상호금융, 은행 예보한도 또한 동시에 올라가기 때문에 금리 매력도가 떨어진 저축은행에 자산을 쪼개서 예치하는 유인은 상대적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