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원장,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F4 공조' 당부"금융업 내 과점·정보공유 … 시장질서 위협 요소로 작용"
  • ▲ 이복현 금감원장ⓒ뉴데일리
    ▲ 이복현 금감원장ⓒ뉴데일리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0일 임원회의에서 최근 미국 신용등급 강등을 계기로 “달러화와 미국 국채의 안전자산 지위가 흔들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국내 금융권에 환위험과 외화 유동성 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을 주문했다.

    또 일부 금융업권에서 제기되는 과점적 구조와 정보교환행위에 대한 경쟁제한 가능성에 대해 “금융안정과 공정경쟁 사이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공정금융 확립과 소비자 후생 제고를 주문했다.

    이 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최근 Moody’s(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은 과거 Fitch(2023년), S&P(2011년) 사례에 비해 제한적이나 대내외 위험요인이 산재해 경계심을 늦춰서는 안된다”면서 “달러화와 美 국채의 예외적 안전자산 지위가 약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글로벌 자금 흐름이 바뀔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이어 “환위험과 외화 유동성 상황을 철저히 점검하고, 기획재정부·한은·금융위와의 F4 공조 체제를 강화해 금융안정을 도모하라”고 지시했다.

    이복현 원장은 또 최근 금융 인프라에서 관측되는 과점적 구조와 금융사 간 정보 공유 행위가 경쟁제한적 요소가 될 수 있다며, 금융산업 내 유효 경쟁 촉진 필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금융업 특성상 안정조치가 자칫 경쟁을 제한하는 것으로 비칠 수 있고, 반대로 경쟁 촉진이 과도하면 금융안정이나 소비자 피해를 부를 수 있다”며 “양측의 균형 속에서 종합적 소비자 후생을 고려한 정책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취약한 금융사가 무리하게 저가 상품을 팔며 소비자를 유혹하고 건전성을 훼손하는 일이 있어선 안 된다”며 “건전한 경쟁을 유도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정보비대칭 해소, 경쟁당국과의 협업 강화, 공정금융 과제의 다각적 추진을 통해 시장 질서를 바로잡겠다고 했다.